총 9개
-
마이크로피펫2024.09.13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앞으로의 실험에서 가장 처음 만져야 할 기구이며,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기구인 피펫(pipette)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고, 작은 양의 액체를 정확히 옮겨보는 실험이다. 일반적으로 생화학은 미시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정밀한 실험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정확한 용액의 질량을 넣어야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피펫의 사용법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산과 염기의 기본 개념과 pH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완충용액(buffer)의 개념을 이해하고, 생화학 및 생명과학 실험에서 왜 완충 용액(...2024.09.13
-
현대생물학실험22024.10.311. 플라스미드 클로닝과 발현 1.1. TA 클로닝 및 형질전환 TA 클로닝은 PCR을 거친 product의 3'에 존재하는 A overhang과 T vector의 3'의 T overhang의 상보성으로 인해 클로닝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DNA strand의 3'-OH 그리고 5'-P 사이의 phosphodiester bond를 형성하게 되어 ligation을 진행한다. ligation이 완료된 플라스미드 DNA를 DH5α에 주입하여 Transformation을 통해 DH5α의 유전형질을 새롭게 변환시킨다. Lac o...2024.10.31
-
쌀로 바이오에탄올 제작2024.10.111. 바이오에탄올의 개요 및 제조 방법 1.1. 바이오에탄올의 정의 및 용도 바이오에탄올이란 식물이 생산하는 바이오매스를 에탄올 및 부탄올을 포함하는 에너지 연료용 알코올로 전환한 것을 말한다. 주로 식물과 미생물, 효소를 발효시켜 생산한다. 바이오에탄올은 대체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계발되었으며, 미국의 경우 실제 차량용 연료로 휘발유, 경유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에탄올은 석유, 천연가스 자원을 대체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즉, 바이오에탄올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2024.10.11
-
분광광도 실험2024.10.141. 분광광도법에 의한 철의 정량 1.1. 실험 목표 철(Fe) 이온이 pH 2~9 범위에서 1,10-페난트롤린 용액과 정량적으로 빨간색의 킬레이트 착물을 형성하는 것을 이용하여,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흡광도 최대값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철을 정량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표이다. 1.2. 실험 관련 이론 1.2.1. 분광 광도법 분광 광도법은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분광측정이라고도 한다. 이는 빛이 시료를 통과하면 시료에 의하여 빛이 흡수되기 때문에 빛의 강도가 ...2024.10.14
-
반응속도 자료 수집 분석2024.09.271. 실험 목적 1.1. 모델 반응을 이용한 농도와 온도에 따른 실험결과로부터 속도자료 획득 모델 반응을 이용한 농도와 온도에 따른 실험결과로부터 속도자료를 획득하는 것은 이번 실험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반응차수, 속도상수, 활성화에너지, 빈도인자, 평형전화율과 같은 속도자료들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회분반응기 실험을 통해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회분반응기는 반응물질을 균일하게 반응시킬 수 있는 반응기로, 초기 반응물이 일정량 주입되어 반응이 진행되고 최종 생성물이 배출되는 비정상상...2024.09.27
-
Uv 미지시료 분석2024.12.021.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한 미지시료 분석 1.1.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미지시료 분석 1.1.1. 실험 목적 미지시료 내 P₂O?의 %함량을 발색시약을 이용한 UV 흡수분광법을 실시하여 검정곡선법을 통해 확인해 보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1.2. 실험 이론 및 원리 분광광도법은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물질의 성질이나 존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분자의 전자상태 변화에 기초한 자외-가시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물질의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에 사용된다. ...2024.12.02
-
중화적정법2024.12.021. 염기-중화 적정을 이용한 황산화물 분석 1.1. 실험 원리 및 특징 1.1.1. 중화적정법의 특징 중화적정법은 산과 염기가 당량비로 반응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농도가 알려지지 않은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결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이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량적 반응이 일어나므로 중화 반응에 의해 정확한 농도를 알 수 있다. 즉, 산-염기 반응의 당량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시약으로 사용되는 산 또는 염기 용액의 농도가 정확해야 한다. 그래서 이들 용액을 표정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2024.12.02
-
흡광계수2024.11.151. 몰 흡광계수와 농도의 계산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합성한 염료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미지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것이다. 즉, 비어-램버트 법칙을 이용하여 몰 흡광계수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미지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실험의 주요 목적이다. 1.2. 이론적 배경 1.2.1. 비어-램버트 법칙 비어-램버트 법칙은 빛이 어떤 화합물의 용액을 통과할 때, 빛의 투과율, 용액을 빛이 통과하는 거리, 용액의 농도 사이에 성립하는 법칙이다. 이 법칙은 흡광도가 물질의 두께에 비례한다는 램버트의 법칙과 물질의 농도에...2024.11.15
-
평형상수의 결정 KI2024.11.061. 화학 평형상수 실험 1.1. 화학 평형 1.1.1. 정반응과 역반응 화학 반응에는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는 반응과 양방향으로 진행되는 가역 반응이 있다. 대부분의 화학 반응은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 가역 반응이다.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 겉보기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화학 평형이라고 한다. 화학 평형 상태에서는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기 때문에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NO2 기체가 N2O4 기체로 이합체화되는 반응에서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