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개
-
원내 기구및2025.03.011. 원내 기구 및 물품 소독·멸균 방법 1.1. 비위험 기구 및 일반물품 소독·멸균 방법 비위험 기구 및 일반물품 소독·멸균 방법은 다음과 같다. Suction bottle(흡인통)은 매 환자마다 또는 장기 사용 시 7일마다 세척 후 락스 100PPM에 5분 이상 침적하고 수돗물로 헹군 뒤 건조하여 사용한다. Suction catheter는 사용 후 폐기한다. 소변기와 대변기는 세척 후 락스 100PPM에 5분 이상 침적하고 수돗물로 헹군 뒤 건조하여 사용한다. 청진기, 체온계, 토니켓, EKG/EEG lead는 매 환자 사용...2025.03.01
-
내시경 간호2025.03.011. 내시경 검사 개요 1.1. 내시경의 정의 및 특징 내시경(Endoscopy)은 수술을 통해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직접 조직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 기법이다. 내시경은 기구를 삽입하여 신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고안된 기구이다. 내시경을 통해 조직 검사나 세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가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병변을 제거할 수도 있어 검사적 목적과 치료적 목적으로 모두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에는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직장경, 방광경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관절경, 혈관경 등의 특수 ...2025.03.01
-
소화기 내시경 간호2024.10.15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나타낸다. BCC는 'Basal Cell Cancer'의 약어로, 기저세포암종을 의미한다. CBD는 'Common Bile Duct'의 약어로, 총담관을 나타낸다.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어로, 심폐소생술을 뜻한다. DNR은 'Do Not Resuscitation'의 약어로...2024.10.15
-
신규간호사 내시경교육 임상 발표자료2024.10.141. 내시경 검사 1.1. 상부 소화기 내시경 검사 1.1.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위내시경(Esophagogastroduodenoscopy)은 위 및 식도, 십이지장 등 상부 소화기관을 내시경으로 관찰하는 검사이다. 내시경을 입을 통해 삽입하여 식도로부터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위내시경에는 일반 내시경(비수면 내시경)과 수면 내시경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일반 내시경은 깨어있는 상태에서 검사를 시행하며, 검사 전 기포제거...2024.10.14
-
내시경 간호2024.11.131. 내시경 검사 1.1. 내시경 정의 및 종류 내시경(Endoscopy)은 수술을 통해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직접 눈으로 장기 내부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 기법이다. 내시경은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직장경, 방광경, 복강경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특수한 내시경으로 흉강경, 종격경, 심장경 등이 있다. 내시경은 단순히 입이나 항문으로 집어넣는 것만이 아니라 관절이나 혈관 등으로 삽입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내시경 검사는 전신마취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2024.11.13
-
상부위장관출혈2024.11.171. 상부위장관 출혈 1.1. 구조와 특성 상부위장관은 식도, 위, 십이지장을 포함하는 소화기관의 상부 부분이다. 식도는 길이 약 25cm의 소화기관으로 인두에서 위까지 이어져 있다. 식도벽은 점막, 점막하층, 근육층, 외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조임근이 있어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음식물이 인두로부터 들어오면 상부조임근이 열리고 하부조임근이 닫혀 음식물을 위로 전달하며, 위에서 나온 위산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다. 위는 입에서 식도를 거쳐 보내진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소화하는 주머니 모양의 소화기...2024.11.17
-
ERCP 시술 방법 및 과정2024.11.251.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 1.1. 적응증 ERCP(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는 다양한 간·담도계 및 췌관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중요한 내시경 시술이다. 담석증, 담관 및 췌관 폐쇄, 신생물 등 다양한 간·담도계 및 췌관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적응증이 된다. 먼저 담석증의 경우, 총담관 결석, 간내결석, 담낭담석 등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방법으로 결석을 제거하는데 ERCP가 유용하다. 담관 및 췌관 폐쇄 시에도 ERCP를 통해 폐쇄 부위를 확인하고 스텐트 삽입 등의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2024.11.25
-
ERCP 시술 간호사 준비사항 및 절차2024.11.251.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1.1. 정의 및 개요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와 췌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이다. 십이지장에서 관찰되는 유두부를 통해 가느다란 도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통해 담도와 췌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주로 담관 및 췌관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된다. ERCP는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유두부를 통해...2024.11.25
-
ERCP 전후간호2024.10.281.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1.1. ERCP의 정의 및 목적 ERCP는 내시경을 식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삽입한 다음 총담관과 췌관으로 진행시켜 직접 담도의 구조를 관찰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촬영하는 검사이다. ERCP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인 불명의 황달이 있어 담도 폐색인지 간 질환인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둘째, 폐색의 원인이 결석인지 관의 낭종, 협착증 혹은 해부학적 기형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셋째, 원위 총담관에서 작은 담석을 회수하고, 담도를 확장시켜 협착을 완화시키고...2024.10.28
-
담낭암 케이스2024.10.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담낭암의 경우 해부학적 특성상 담낭 주위의 담관이나 간조직으로 잘 퍼져 나가며, 림프 시스템을 따라서 간 부위의 림프절을 침범하기도 한다. 점점 암세포가 퍼지는 경우는 복부의 어느 림프절이나 장기로도 전이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질병이며, 임상적으로 복부의 RUQ 통증, 황달이외에 체중감소, 식욕부진, 오심 등의 전신증세를 나타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병률이 낮은 편이나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며, 증세가 나타났을 때에는 이미 진행이 되어 있어서 수술하여도 예후가 극히 나빠 5년 평...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