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agar 배지 상에서 염색 시약을 통한 확산 관찰2024.10.121. 배지 및 미생물 1.1. 배지의 정의와 종류 1.1.1. 기초배지 기초배지는 영양 요구성이 엄격하지 않은 세균, 예를 들면 대장균과 같은 장내세균과의 세균을 발육시키는데 사용되는 보통 액체배지이며 이것을 한천으로 겔화시킨 보통 한천배지, 펩톤수 등이 있다. 펩톤수는 펩톤이 카제인, 젤라틴, 쇠고기, 효모 등의 단백질을 펩신 등의 효소 또는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건조분말로 한 것으로 아미노산, 펩티드를 주성분으로 한 것 이외에 펩톤 1%, NaCl 0.5%를 증류수 1,000ml에 용해하여 고압살균한 것이다. 보통육즙은...2024.10.12
-
그람염색 실패2025.03.211. 그람염색 실패 1.1. 그람염색의 정의와 중요성 그람염색(Gram stain)은 세균 종을 확인하는 데 흔히 쓰이는 화학적 염색법이다. 1884년 덴마크의 의사 Christian Gram이 개발한 이 방법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 성분이 많아 염색 후 보라색으로 나타나고, 그람음성균은 펩티도글리칸 성분이 적어 붉은색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세균의 크기, 형태, 배열 상태 등을 구분할 수 있다. 그람염색은 세균의 종을 추정하고 적절한 ...2025.03.21
-
배양검사 종류 및 판독2025.03.211. 실험목적과 배경 1.1. 배양검사의 필요성 배양검사의 필요성은 세균과 진균에 의한 균혈증이 매우 위중한 감염증이기 때문이다. 매년 미국에서 약 20만 명 정도의 균혈증 환자가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치사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혈액에서 병원체를 신속하게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판단하는 것이 감염증의 진단과 예후 판단, 그리고 항생제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매우 중요하다. 1.2. 혈액배양검사의 목적 혈액배양검사의 목적은 패혈증 또는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 전신 감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에서 미생물을 발견하고 동정...2025.03.21
-
간호 미생물학2025.03.281. 간호 미생물학 개요 1.1. 미생물의 형태와 구조 1.1.1. 세균의 형태 세균은 크기가 매우 작아 대부분의 빛이 그대로 세균을 통과하므로 투명한 물체와 같다. 따라서 세균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염색을 한다. 세균의 형태는 크게 알균, 막대균, 나선균의 3가지로 구분된다. 알균은 세포의 형태가 둥근 모양인 것으로, 완전히 둥근 모양, 쌍알균, 란셋 모양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막대균은 세포의 형태가 막대 모양인 것으로, 균종에 따라 크기의 차이가 있다. 나선균은 세포의 형태가 가늘고 길며 구불구불한 것으로, 나선의...2025.03.28
-
생물학 실험2024.09.251. 일반 관찰 1.1.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세포 관찰 1.1.1. 구강 상피 세포와 양파 표피 세포 관찰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강 상피 세포와 양파 표피 세포를 관찰한 결과, 두 세포 간 구조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강 상피 세포를 메틸렌 블루 용액으로 염색한 결과, 구강 상피 세포의 핵과 세포질이 모두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세포질에 비해 세포의 핵이 더 진하게 염색되어 세포핵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양파 표피 세포를 아세트올세인 용액으로 염색한 결과, 양파 표피 세포의 핵만 진하게 염색되어 관찰되...2024.09.25
-
곰팡이 실험2024.09.111. 곰팡이의 분리 및 배양 1.1. 실험 목적 곰팡이는 토양, 물, 공기 등의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세균에 비해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세포의 균사상 진핵세포 생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형태학적으로 곰팡이를 분류하는 것은 실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실험 이론 및 원리는 다음과 같다. 실험 배경 배지의 pH를 낮추거나 살리실산나트륨 등의 화학 약품을 첨가하면 세균이나 효모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곰팡이를 분리하기가 쉽다. 따라서 곰팡이의 내산성을 이용하여 구연산 발효에 ...2024.09.11
-
현미경관찰 및 그람염색실험2024.09.301. 미생물의 염색 및 관찰 (Gram staining) 1.1. 실험 목적 그람염색의 화학적, 이론적 기초를 파악하고 그람 양성과 음성의 미생물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구조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염색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리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그람염색 과정을 실제로 수행해보고 현미경을 통해 두 균주를 관찰하여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1.2. 실험 재료 및 기구 실험 재료 및 기구는 "알코올 램프, 캔들 라이터, 페이퍼타올, 70% 알코올,...2024.09.30
-
미생물 동정2024.09.251. 미생물의 분류와 명명법 1.1. 미생물의 분류법 1.1.1. 분류, 명명, 동정 분류, 명명, 동정은 미생물 분류학의 핵심 개념이다. 분류(classification)란 미생물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종별로 묶어서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명명(nomenclature)은 분류된 종에 대해 보편적인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미생물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학명을 정한다. 동정(identification)은 자연계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분류 체계에 따라 검색하여 어떤 균종에 속하는지를...2024.09.25
-
임상미생물 S.aureus, S.epidermidis, M. luteus2024.09.231. 미생물 분리 및 동정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균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stock solution와 균을 배양학 위한 LB agar 배지를 직접 제작해보고,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피펫을 포함한 다양한 실험 기구들의 사용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또한 PCR과 겔 전기영동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배양한 균의 염기서열을 직접 산출해낸다. 산출된 염기서열을 sequencing과정을 통해 미생물의 종을 확인해보며 Hydrolysis test, 그람염색법 그리고 Oxidase, catalase test을 이용해 실험...2024.09.23
-
간호미생물학2024.10.161. 미생물학 개론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성 미생물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생물체를 통칭하며, 이는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 크게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구분된다. 원핵생물은 대표적으로 세균(bacteria)을 포함하며, 진핵생물에는 진균(fungi), 원생생물,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 세균은 가장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대부분 단세포 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세균은 크기가 0.5-5μm 정도로 매우 작아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하며, 세포벽, 세포막, 염색체, 리보솜 등의 기본적인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특...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