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모델을 알아야 하며, 메시지가 전달되면서 왜곡현상을 보이는 소음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물론 수신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수신자의 문화와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상징들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의 단순한 모델 세가지 요소- 송신자, 메시지, 수신자
세가지 행위 - 상징, 상징해석, 반응(도표1, 선교커뮤니케이션 38p)
심플 모델 보다 더 많고 복잡한 내용들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여기서 자민족 중심주의가 상징과 소음에 해당 된다고 본다. (선교 커뮤니케이션론 51p 도표2 참조)
첫째로, 암호화하는 과정에서 문화적인 요소 속에 자민족중심주의가 영향을 미친다. 언어의 표현에 있어서 "우리나라" "대한민국" "한국사람" 등을 말할 때 이미 그 속에 포함된 의미 속에 자민족중심주의가 내포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