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유기화학실험2 prelab_ Carbocation Rearrangements-Benzopinacolone2025.01.111. Carbocation Rearrangements 이 실험에서 다룰 반응은 carbocation rearrangement가 일어나는 반응 중 하나인 pinacol rearrangement이다. 이는 dehydration 반응으로 산 촉매 반응이다. Hydroxy oxygens 중 하나에서 protonation이 일어나고, 물분자가 떨어지면서 tertiary carbocation을 형성한다. 이 실험에서는 benzopinacol 을 사용하므로 phenyl group 이 migration 하는데, 이는 oxygen의 nonbondi...2025.01.11
-
유기화학실험2 lab-report_Exp1. Carbocation Rearrangements - Benzopinacolone2025.01.111. Carbocation Rearrangements 이번 실험은 benzopinacol이 carbocation rearrangement를 통해 benzopinacolone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benzopinacol과 acetic acid, 촉매인 iodine을 사용하여 반응을 진행하였고, 생성된 benzopinacolone의 수득량, 수득률, TLC 결과, 녹는점 등을 확인하였습니다. 반응 메커니즘은 acetic acid와 iodine의 반응으로 생성된 강산 HI가 benzopinacol과 반응하여 b...2025.01.11
-
[유기화학실험2 A+]Prelab1_Carbocation rearrangements-benzopinacolone2025.01.121. Carbocation rearrangements 이 실험에서는 benzopinacol이 carbocation 재배열을 통해 benzopinacolone으로 전환됩니다. Benzopinacolone은 감압 여과로 분리되며, 수율을 계산하고 녹는점을 측정하여 benzopinacolone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 실험은 acetic acid, iodine, benzopinacol을 플라스크에 넣고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Acetic acid는 용매 역할을, iodine은 촉매 역할을 합니다. Acetic acid는 ...2025.01.12
-
[유기화학실험2 A+]Labreport1_Carbocation rearrangements-benzopinacolone2025.01.121. Carbocation rearrangements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생성된 benzopinacolone의 양은 0.3707g이었다. benzopinacol을 사용한 반응의 몰수는 1.365x10^-3mol이었고, benzopinacol과 benzopinacolone은 1:1 몰비로 반응한다. 따라서 이론적 수율의 benzopinacolone 몰수도 1.365x10^-3mol이다. 실험적 수율은 1.129x10^-3mol로, 수율은 82.7%였다. TLC 분석 결과 benzopinacol의 Rf가 benzopinacolone...2025.01.12
-
Carbocataion rearrangement: benzopinacolone2025.01.211. Carbocation 탄소 양이온은 탄소 원자가 양전하로 하전된 물질로, 대표적으로 methenium cation과 vinyl cation이 이에 해당한다. 탄소 양이온은 탄소가 n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때 n차 carbocation, 즉 1차(primary), 2차(secondary), 3차(tertiary) carboca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탄소 양이온은 sp2 Hybridized orbital과 비어있는 P orbital을 갖고 있다. 따라서 결합 각이 120도인 trigonal planar구조로 3개의 sp...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