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동맥관개존증 (PDA)2025.01.191. 동맥관개존증 (PDA) 동맥관개존증(PDA)은 모든 선천성 심장질환의 10%를 차지하며 여아가 남아보다 두 배로 높고 임신 초기에 풍진에 감염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조산아에서의 발생빈도는 재태기간과 반비례한다. PDA는 재태 기간이 28주 미만 신생아의 60%에 달한다. PDA는 다른 선천성 심장질환과 함께 올 수 있으며 어떤 선천성 심장질환(활로 4징후, 좌심형성부전 증후군)에서는 동맥관을 개존 시켜 패혈류나 체혈류를 유지해 생존하게 할 수 있다. 동맥관은 정상적으로 출생 후 24시간 내에 50% 정도 닫히고 48시간까지...2025.01.19
-
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 PDA case study2025.01.081. 동맥관 개존증 (PDA) 동맥관 개존증은 출생 직후 허파호흡이 개시되면 ductus arteriosus가 그 기능을 상실하고 생후 12시간 까지 기능적으로 폐쇄되며, 1~6주간 까지는 기질적으로 폐쇄되어야 하는데 이 폐쇄되어야 하는 동맥관이 열린 채로 남아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서 생긴 Lt to Rt shunt가 기본적인 병태이다. 대부분의 경우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로 보아 유전적 요소가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출생 시부터 존재하는 심장 기형은 다운증후군과 같은 유전 질환과 연관이 있다. 태아기에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