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고혈압 약물의 기전 및 종류2025.01.14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한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이러한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교감 신경에 의한 신경성 요인 및 레닌-안지오텐신 기전에 의한 체액성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유전, 흡연, 남성, 노령화는 고혈압의 유발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고혈압의 90% 이상은 본태성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2025.01.14
-
심부전 진단, 약물적 치료, 비약물적치료2025.04.281. 심부전 진단 심부전 진단에는 신체검진, 혈액검사, 심장초음파, 심전도, 흉부 X-선 소견, 혈액학적 검사 등이 포함된다. 신체검진에서는 약한 심음, 심첨부의 S3, S4 심음, 폐 기저부의 수포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검사에서는 BNP 수치 증가가 심부전 진단에 유용하다. 심장초음파는 심장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며, 심전도와 흉부 X-선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2. 약물적 치료 심부전 치료를 위해 이뇨제, ACEI, ARB, β-차단제,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이 사용된다. 이뇨제는 전부하를 감소시켜 증상을 완...2025.04.28
-
항고혈압제 약물의 분류와 약물의 작용 및 부작용2025.05.021. 이뇨제 이뇨제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신장에서 혈액 중의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변을 통해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체액량 자체를 감소시켜 혈압을 강하시킨다. 이때, 칼륨이 함께 배설되어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혈당, 총 콜레스테롤 수치, 요산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나치게 수분이 많이 빠져 탈수, 저혈압이 오거나, 전해질 이상으로 인한 근경련, 부정맥 등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 교감신경억제제 교감신경억제제는 아드레날린성 차단제로도 불리는데, 아드레날린성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