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순환교육의 문제점2025.01.181. 순환교육의 문제점 순환교육은 누적학습과 거리가 있으며, 학습자의 자율성과 재정적인 문제가 있다. 누적학습은 단속적 학습이 어려우며, 순환교육은 학력취득보다는 직업 관련 새로운 지식과 기능 습득에 적합하다. 순환교육은 학습의 자발성, 학습내용의 자유선택, 학습피정의 자기규제를 강조하지만 이전 학습경험에 따라 교육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순환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습기간 동안의 생활비 보장이 필요하다. 1. 순환교육의 문제점 순환교육은 학생들의 학습 연속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매년 새로운 교사와 새로운 학급으...2025.01.18
-
순환교육의 개념과 목표 및 등장배경2025.01.181. 순환교육의 등장 배경 순환교육(Recurrent education)은 스웨덴의 경제학자 렌(Rehn, G)이 제창하고 1968년 베르사이유에서 개최된 유럽 교육부 장관회의에서 스웨덴의 교육부 장관인 팔매(Palme, O)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 이후 1970년에 OECD에서 순환교육을 평생교육 구체화 전략의 하나로 채택하였고, 1973년 OECD의 연구기관인 CERI에서 '순환교육: 평생학습을 위한 전략'이라는 보고서를 통하여 순환교육의 개념과 원리를 명확히 하여 회원국들에게 적극적인 적용과 확산을 독려함으로써 국제적으로 ...2025.01.18
-
순환교육의 효과2025.01.181. 동세대 또는 동일 연령층의 교육기회균등화 의무교육이나 중등교육 종료 후 어떤 이유에서든 후기 중등교육이나 고등교육에 진학하지 않았거나 진학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 대해 인생의 후기단계에서 학교 교육을 이용할 기회가 부여된다. 이를 통해 사회계층 간의 교육격차를 바로잡을 수 있다. 2. 세대 간 교육기회균등화 중년 이상의 연령층은 그들의 청소년기에 오늘날보다 교육기회가 부족했기 때문에 젊은 층에 비해 평균 학력이 낮고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들 연령층에 대해 그들이 청소년기에 누릴 수 없었던 교육기회를 제공하는...2025.01.18
-
스웨덴의 평생교육2025.01.181. 스웨덴의 평생교육 정책 스웨덴의 평생교육 정책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970년대 중반 OECD의 순환교육론을 바탕으로 성인 대상 계속교육 기반을 구축한 시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1991년부터 1994년 사이 비사회당 정부에 의해 단행된 교육 개혁 시기로, 통합고등학교 제도 도입과 교육 권한 및 책임의 지방정부 이양, 결과 중심 예산 분배 평가 시스템 도입 등이 이루어졌다. 세 번째 시기는 1998년 이후 '모든 이를 위한 평생학습사회 건설'을 목표로 한 교육 개혁 시기로, 직업고등교육 발전과 개...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