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간호학 임상검사, 랩검사 정상수치2025.01.131. CBC (Complete Blood Count) CBC 검사는 백혈구(WBC), 적혈구(RBC), 혈색소(Hb), 헤마토크릿(Hct), 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적혈구분포폭(RDW), 혈소판(Plt) 등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해 감염, 빈혈, 출혈 등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혈액응고검사 혈액응고검사에는 출혈시간(BT), 프로트롬빈시간(PT),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PTT), 피브리노겐(Fibrinogen), 섬유소분해산물(FDP), D-di...2025.01.13
-
완충용액 실험 보고서2025.01.121. 완충용액 완충 용액의 원리를 탄산 같은 이양성자산의 적정 곡선을 통해 배웁니다. 실험에서는 염산 수용액으로 탄산염 수용액을 적정하면서 탄산이온이 모두 소모되는 제1 종말점과 중탄산이온이 모두 소모되는 제2 종말점을 결정하고, 탄산이온과 중탄산이온으로 구성되는 완충 영역과 중탄산이온과 탄산으로 구성되는 완충 영역에 대해 알아봅니다. 2. 완충작용 완충 작용이란 산이나 염기를 넣어도 용액의 pH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런 완충 작용의 특성을 가진 용액을 완충 용액, buffer solution이라고 합니다. 완충 작용...2025.01.12
-
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한 해리상수의 결정2025.01.201. 산, 염기 해리 상수 산 해리 상수(Ka)는 산 해리 반응의 평형상수이다. 산이 그 짝염기와 proton으로 해리되는 반응의 화학 평형에 도달했을 때, 짝염기의 molarity와 proton의 molarity의 곱을 해리되지 않은 산의 농도로 나누어 준 값이다. 산 해리 상수는 산의 세기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며, 이것이 클수록 강 산임을 의미한다. 2. 완충용액 완충용액은 산 혹은 염기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pH의 급격한 변화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액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짝염기의 혼합물 혹은 약염기와 그...2025.01.20
-
pH 측정 및 완충용액 제조2025.01.201. pH 측정 pH는 수소 이온 농도의 지수로, 수용액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pH 측정은 pH 미터나 지시약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브로모티몰 블루 지시약을 사용하여 pH를 측정하였습니다. 2. 완충용액 제조 완충용액은 외부로부터 산이나 염기를 가해도 pH가 크게 변하지 않는 용액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아세트산나트륨과 아세트산 용액을 혼합하여 완충용액을 제조하였습니다. 완충용액의 pH는 약한 산의 pKa와 산-염기 쌍의 농도비에 의해 결정됩니다. 3. 용액 제조 이 실험에서는 0.2M 아세트산나트...2025.01.20
-
간호학과 생리학 호흡정리본2025.01.231. 호흡기계 구조물 호흡기계의 주요 구조물인 코와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와 폐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구조물의 기능과 특징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2. 호흡의 과정 호흡의 목적과 5단계(환기, 외호흡, 호흡기체의 운반, 내호흡, 세포호흡)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환기 과정에서 흡기와 호기의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3. 가스교환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스교환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분압 차이에 의한 확산 원리와 이에 따른 가스 운반 과정을 자세히 기...2025.01.23
-
일반생물학실험 <천연지시약 만들기 및 pH 측정> 결과레포트2025.01.271. 천연지시약 제조 자주색 양배추를 잘게 잘라 비커에 넣고 물을 잠길 정도만 부어준다. 물을 끓여 색소를 추출하고, 색소가 추출된 수용액만 따로 분리하여 식혀 둔다. 96well plate에서 다른 지시약들과 pH에 따른 결과를 비교한다. 2. 지시약에 의한 pH 측정 96well Plate에 pH 표준용액을 1부터 12까지 2방울씩 넣고, A열에는 메틸오렌지, B열에는 BTB용액, C열에는 페놀프탈레인용액, D열에는 천연지시약을 1방울씩 떨어뜨린다. 약 1분이 지난 후 표준용액의 색깔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pH를 알고 싶은 ...2025.01.27
-
중환자간호실습_사전학습_CRRT, ECHMO, ICP, ABGA_그림포함2025.01.281. CRRT(지속적 신기능대체요법) CRRT는 혈액 역동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산-염기 상태와 전해질 농도를 천천히 지속적으로 조정하며 요독소와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CRRT는 HD와 달리 지속적으로 적용되며, 이를 이용해 며칠에 걸쳐 다량의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확산, 삼투, 대류의 원리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며 HD에 비해 수분과 전해질의 급격한 이동이 적어 저혈압의 발생위험이 낮습니다. 2. ECMO(체외막산소요법) ECMO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가스배출과 같은 폐의 기능을 도와주는 장치...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