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면역학 SDS-PAGE 실험 레포트2025.01.031. SDS-PAGE SDS-PAGE는 단백질 분리 기술로, 전기 영동 이동성을 이용한 기술입니다. SDS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일시적으로 음전하를 띄게 하고, 분자량에 따라 각각의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SDS-PAGE는 stacking gel과 running gel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온들의 이동속도 차이로 인해 단백질들이 동일한 속도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유무와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Coomassie Blue Staining Coomassie Brilliant Blue G250은 단백질을...2025.01.03
-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기초간호과학 기말과제2025.01.251. 사이토카인 급성 염증 관련 인자 중 하나인 사이토카인은 면역세포가 면역 작용 강화를 위해 분비한 아미노산 덩어리를 의미한다. 특히, 염증반응 시에는 내피세포에 국소적인 영향을 미치고, 염증 후에는 치료에 관여한다. 대표적으로 종양괴사인자, 인터페론 등이 있다. 2. 반코마이신 세포벽 합성 억제제 중 하나인 반코마이신은 카르보하이드레이트 펜타펩티드에 결합하여 트랜스펩티다아제의 교차결합을 차단하는 약물이다. 증식 중인 그람양성균에 살균작용을 하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일 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제2형...2025.01.25
-
미생물 면역학 실험보고서2024.12.311. Active Transposition of Insertion Sequences in Prokaryotes: Insights from the Response of Deinococcus radiodurans R1 to Oxidative Stress 이 실험은 Deinococcus radiodurans R1 균주를 사용하여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D. radiodurans R1은 UV, 건조 등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균주의 반응을 관찰...2024.12.31
-
COVID-19 백신에 대한 면역학 보고서2025.01.181. SARS-CoV-2 바이러스 특성 SARS-CoV-2는 RNA 바이러스로 쉽게 변이가 일어나며, 세포 내로 침입하는 과정과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COVID-19 백신 종류 기존의 생백신, 사백신, 단백질 기반 백신 외에 핵산 기반 백신(DNA, RNA)이 개발되었으며, 각 백신의 특징과 작용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백신 유형별 면역 반응 단백질 기반 백신과 비활성화 바이러스 백신은 주로 체액성 면역을 유도하고, 핵산 기반 백신은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을 모두 유도하는 것을 설명하...2025.01.18
-
[약대 실습 레포트] 면역학 실습 레포트_Hybridoma cell & antibody purification2025.01.211. Hybridoma cell Hybridoma cell은 항체를 생산하는 B 림프구와 myeloma cell을 융합하여 얻은 세포로,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입니다. 이 세포주는 한 종류의 항체를 생산하는 능력과 반영구적으로 세포를 증식하는 능력을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2. Antibody purification Antibody purification의 원리는 Protein A나 G와 항체의 Fc region의 친화력을 이용하여 affinity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항체를 분리하는 것입니다. 이때 pH를 ...2025.01.21
-
[약대 레포트]면역학 실습 레포트_면역기관의 관찰2025.01.211. 면역 체계 면역 체계는 항원(antigen)과 면역 반응으로 구성됩니다. 항원은 생체 내에 존재하지 않고 침입하여 항체를 생성시키는 인자이며, 면역은 생체 내부 환경이 외부 인자인 항원에 대해 방어하는 현상입니다. 면역은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으로 구분되며, 선천면역은 비특이적인 방어 체계이고 적응면역은 특이적인 방어 체계입니다. 2. 림프기관 림프기관은 면역 세포들이 모여있는 장소로, 면역 반응에 필요한 세포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잘 일어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1차 림프기관인 흉선과 골수에서 면역세포가 생성되고 성숙하며, 2차...2025.01.21
-
(의학/약학) 생명과학 세특, 교과서 속 노벨상 - 혈액형과 수혈 (자율 주제)2025.01.291. Karl Landsteiner의 연구 Karl Landsteiner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의대 졸업 후 병리학자이자 면역학자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1900년에 혈액형의 존재를 확인하고 A형과 B형을 발견했으며, 1901년에는 AB형 혈액을 발견하여 혈액형 분류 체계를 확립했습니다. 1912년에는 Rhesus 혈액형 시스템을 발견했습니다. 그의 연구 결과는 수혈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1930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2. 수혈의 역사 수혈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1666년 리차드 로워가 개의 정맥을 연결...2025.01.29
-
(인간과과학) 4. 20세기 초에 전 세계에 유행한 스페인 독감과 현재의 covid-19 대유행의2025.01.261. 스페인 독감의 발병 스페인 독감은 20세기 초에 발생한 새로운 병이다. 당시에는 과학기술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항하기가 쉽지 않았다. 당시 미국과 유럽 등은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전무후무한 규모의 전쟁에 참여 중이었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조건 때문에 병이 유럽 전역을 휩쓸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엄청난 수의 사망자수가 나오게 되었다. 2. 코로나19 발병 코로나19가 처음으로 보고된 곳은 중국 우한이다. 2019년 12월 1일에 최초 보고 내용이 나왔고 추후 새로운 유형의 신종 바이러스라는 것이 ...2025.01.26
-
미생물학 입문2025.01.171. 미생물의 종류와 크기 미생물은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리케차, 클라미디아, 진균, 곰팡이, 원충, 바이러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육안으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핵산(DNA 또는 RNA)만을 가지고 있어 생물 분류체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미생물학의 범위 미생물학은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세균학, 진균학, 원충학, 바이러스학 등으로 구분된다. 병원미생물학은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며, 각 병원미생물의 성질, 병원성, 전염성, 감염경로, 증상,...2025.01.17
-
[약대 실습 레포트] 면역학 실습 레포트_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 확인(cell treat)2025.01.211.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 대식세포 표면의 TLR이 PAMP를 인식하거나, 특정 cytokine에 대해 수용체에서 인식하는 경우 대식세포가 활성화 된다.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표식작용이 증가하고 항미생물 작용이 증가하며, ROS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iNOS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아르기닌이 산소와 NADPH와 반응하여 NO가 생성되는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IL-1, TNF-α, IL-6 등을 분비하게 되고, 이들은 염증반응 매개 물질로 림프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2. RAW 264.7 세포주 RAW...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