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동양고전강독2 중간고사 대체과제 강의 소감문2025.01.181. 선진시대 선진시대는 춘추전국시대라고도 불리며, 가장 혼란스러웠던 시기이자 난세를 이겨내는 방법을 고민했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무위와 유위를 주장한 다양한 학파들이 존재했는데, 도가가 주장한 무위가 인상적이었다. 각 지역의 소국들이 성장하면서 중국을 분점했던 이 시기에 도가는 다른 학파들과 달리 아무도 나서지 않고 한 발짝 물러나 방관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2. 묵자 묵자는 노동자계층을 대변하며 유가를 비판했다. 그는 약육강식을 지적하며 인격 불평등을 해소하고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2025.01.18
-
동양고전과 리더십 중간고사 대체과제(강의 리뷰 모음집) A+ 만점2025.01.291. 리더십 리더십이란 개인과 공동체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태도와 행동을 말한다. 대학생의 리더십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 속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신을 성장시키고 공동체를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태도와 행동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사람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인의 도덕성이 중요하다. 2. 공자와 논어 공자는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이자 교육자로, 유가학파를 창시했다.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이 편집한 것으로, 공자의 행적과 주변 인물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책이다. 공자의 핵심 사상은 ...2025.01.29
-
사람의 본성: 선한 존재인가 악한 존재인가2025.05.041. 성선설 성선설은 사람이 본래 선한 존재라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동양의 맹자와 서양의 플라톤 등 대표적인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맹자는 인간에게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 있기 때문에 선하다고 보았다. 또한 심리학자 칼트너 교수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을 돌보는 성향이 있으며, 특히 약한 개체를 보호하려는 특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과학적으로 성선설을 뒷받침하고자 했다. 2. 성악설 성악설은 인간이 본래 악한 존재라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자세한 내용을 서술하기 어렵다. 다만 성악설의 ...2025.05.04
-
맹자의 도덕철학 - 의지박약 문제, 동기부여, 의무, 도덕적 기호, 욕망2025.01.111. 의지박약 문제 맹자는 '해야하는 일'을 알면서도 '하고자 하는 의지'가 부족해 마땅히 해야할 일을 하지 않는 상황에 대해 고민했다. 그는 '우리가 진정으로 하고자 하는 것[동기 부여]'과 '해야만 하고, 해야 한다고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의무]'이 '마음'이라는 근본으로 하나라고 보았다. 2. 도덕적 기호 맹자는 도덕적 기호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도덕적 기호는 단순히 선천적인 사단에 근거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맥락의 산물이기도 하다. 따라서 도덕적 기호가 '해야하는 일[의무]'의 마땅한 근거가 될 수 있...2025.01.11
-
생활과 윤리 2024학년도 모의고사 기출 선지 OX 문제 및 정답(동양윤리적 접근)2025.01.231. 장자와 공자의 윤리관 장자와 공자는 마음의 수양을 통해 도(道)를 따르며 살아가야 한다고 보았지만, 장자는 인위적인 규범에서 벗어나 무위의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공자는 시비선악을 분별하고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며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장자는 차별 없는 사랑[兼愛]을, 공자는 성인이 제정한 예를 바탕으로 만물을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2. 맹자와 노자의 윤리관 맹자는 예법[禮]이 아닌 형벌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보지 않았으며, 이로운 것[利]이 곧 의로운 것[義]이라고 주장했다. 노자는 도(道)에 ...2025.01.23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순자의 자연관 순자(荀子,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38년?)는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 말기의 유교 사상가이자 학자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하였으며, 예(禮)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교정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순자의 자연관인 '하늘과 사람은 서로의 역할이 있다'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이다. 2. 쇼펜하우어의 철학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19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한 명으로, '의지와 ...2025.01.25
-
[한국외대] 교육철학및교육사 10강 과제 (A+)2025.01.181. 공자와 맹자의 치인 사상 공자와 맹자는 군자의 역할이 생업에 종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다스리는 일, 즉 치인이라고 말한다. 치인을 달성하는 효과적이고 올바른 방도는 백성을 개선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군자 자신이 먼저 개선·수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성리학의 이기론 성리학에서 '이'는 천하의 사물에 내재한 마땅한 법칙이며, '기'는 이의 형이하적 그릇이다. 만물의 다양성과 인간의 인식·도덕성 차이는 각자의 기질 때문이며, 인간은 가장 맑고 온전한 기질을 타고나 태극을 구현시킬 가능성이 크다. 3. 성리학의 심성수양론 성...2025.01.18
-
동서양고전의 이해: 맹자의 왕도정치와 성선설2025.01.251. 맹자의 왕도정치 맹자는 왕도정치를 주장했는데, 이는 백성을 위한 인의 실현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정치의 목적은 이익이 아닌 인의라고 말했으며, 군주가 백성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맹자의 왕도정치는 백성을 잘 보호하고 교육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2.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의 도덕적 가능성을 강조하는 성선설을 주장했다. 그는 사람의 행동이 도덕적인지 여부로 대인과 소인을 구분했는데, 이는 마음의 생각이 감각의 욕구를 이끌어가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맹자는 도덕적 마음을 확충하여 도덕적 의지가 욕구와 감정...2025.01.25
-
맹자의 왕도정치와 성선설에 대한 이해2025.04.261. 맹자의 왕도정치 맹자는 정치의 존재 이유를 '위민'에서 찾으며, 정치의 3요소로 주민, 영토, 주권을 인식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민이며, 통치자가 폭정을 행하면 쫓겨나기도 하고 영토 또한 극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백성들은 살 곳을 찾아 민족이동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따라서 맹자는 '위민, 보민'에 저해되는 어떠한 정치도 거부하고 왕도정치를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이 선험적으로 선량하고 착한 마음을 소유한 도덕적 존재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내면에서 부터 도덕적인 행...2025.04.26
-
중국고대철학 기말고사 레포트 A+ 자료2025.01.191. 성선설 성선설은 맹자가 주장한 이론으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는 모든 인간이 선한 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맹자는 인간에게 내재된 도덕적 심성인 양지와 양능을 통해 자신이 판단한 선에 대해 좋아함을 표현하고, 악에 대해서는 혐오감을 느끼는 호선오악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러한 능력은 모든 사람이 갖추고 있지만, 자각과 노력을 통해 발현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성선설에는 악한 본성에 대한 모순점, 당위론적 관점에서의 이해, 심리적 입장에서의...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