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성인간호학 고칼륨혈증 문헌고찰2025.01.131. 칼륨(Potassium, K) 칼륨(Potassium, K)은 세포 내에 가장 많은 전해질로 약 96%(150mEq/L)가 세포 내애 존재하고 나머지 4% (5mEq)가 혈관 내에 존재한다. 혈청칼륨양의 정상범위는3.5~5.0mEq/L이다. 혈청 칼륨양이 2.5mEq이하이거나 7.0mEq/L이상이면 심장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칼륨의 기능은 세포내 삼투질 농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경자극의 전도와 골격근, 심장, 평활근의 수축을 돕는다. 또한 수소이온과 세포 교환을 통해 산-염기 균형 유지에 기여한다. 2. 고칼...2025.01.13
-
성인간호학 레포트(전해질불균형 환자의 간호)2025.01.14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은 혈청 내 나트륨이 135mEq/L 이하인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저혈량 저나트륨혈증, 정상혈량 저나트륨혈증, 고혈량 저나트륨혈증, 재분포 저나트륨혈증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설사, 장음증가, 복부경련, 이완기 혈압 감소, 빈맥, 체위성 저혈압, 호흡수와 리듬 변화, 거친 폐음, 두통, 불안, 기면, 혼돈, 근육강도 감소, 반사감소, 진전, 경련 등이 나타난다. 간호중재로는 증상에 따른 적절한 수액 투여, 수분 섭취 제한, 전해질 모니터링, 신경계 변화 관찰 등이 필요하다. 2. 고나...2025.01.14
-
83세 남성 환자의 고칼륨혈증, 동성서맥 사례2025.01.081. 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동성서맥은 심장에 대한 과도한 미주신경 자극으로 인해 동방결절의 방전수가 분당 60회 이하로 감소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관상관류시간은 증가하지만 관상관류압은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심근의 산소요구량은 감소된다. 증상으로는 맥박수 감소 외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 치료로는 아트로핀 투여, 수액공급, 산소공급 등이 있으며 증상이 지속되면 임시형 또는 영구형 심장박동기 삽입이 필요할 수 있다. 2. 급성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2025.01.08
-
Acute kidney injury 급성신부전2025.01.121. Acute kidney injury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저하되는 상태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신장 혈류 감소, 신장 내 병변, 요로 폐쇄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소변량 감소, 부종, 고칼륨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소변검사, 영상검사 등이 필요하며, 원인 치료와 함께 수분 및 전해질 관리, 요독 제거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각한 경우 투석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Acute kidney injury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악화되는 상태로, ...2025.01.12
-
관장의 종류와 방법2025.01.131. 글리세린 관장 글리세린 관장은 직장 내 장팽창, 장점막 자극, 연동운동 유발을 통해 변을 부드럽게 배출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준비물로는 글리세린 50ml, 직장 튜브(Rectal tube 28Fr), 관장용 주사기, 윤활제, 일회용 장갑, 화장지, 거즈가 필요합니다. 방법은 손 위생 후 주사기에 글리세린 50ml를 넣고 직장 튜브와 연결하여 공기를 빼준 뒤, 직장 튜브 끝 부위에 윤활제를 바르고 천천히 주입하는 것입니다. 2. 듀락칸 관장 듀락칸 관장은 간성혼수 환자의 혈중 암모니아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준비물...2025.01.13
-
전해질 불균형의 원인, 증상 및 간호 중재2025.01.131. 나트륨 불균형 저나트륨혈증은 부적절항이뇨호르몬분비증후군(SIADH)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희석된 소변을 콩팥에서 충분히 배설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분 과잉 섭취하거나, 음식(Na)은 섭취하지 않으면서 물만 조금씩 마시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고나트륨혈증은 Na 과잉 섭취, 몸속에 나트륨이 과도하거나 대부분은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요붕증 환자나 고알도스테론증 환자에서도 고나트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칼륨 불균형 저칼륨혈증은 위장관계 문제, 칼륨 손실을 증가시키는 약물 사용, 칼륨의...2025.01.13
-
급성신부전 환자의 간호과정2025.01.031. 고칼륨혈증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급성신부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고칼륨혈증은 심부정맥과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집중치료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칼륨 섭취를 제한하며, 이온교환수지와 bicarbonate 투여 등의 중재를 통해 혈중 칼륨 수치를 정상 범위로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2. 저나트륨혈증과 관련된 체액 과다 급성신부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저나트륨혈증은 체액 과다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호흡음 청진, 산소 공급, 이뇨제 투여, 섭취량과 배설량 모...2025.01.03
-
말기 신부전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관리2025.01.021. 전해질 불균형 대상자는 현재 고칼륨혈증(K 6.5mEq/L)과 저알부민혈증(Albumin 3.0g/dL)을 나타내고 있어 전해질 불균형 상태에 있다. 고칼륨혈증은 급성 신손상의 위험이 있고 심장에 부담을 주어 부정맥 등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어 즉각적이고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저알부민혈증은 혈관 밖으로 체액이 빠져나가 전해질 불균형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피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 불균형을 중재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말기 신부전 관리 대상자는 말기 신부전(ESRD)으로 진단되어...2025.01.02
-
관장, enema2025.01.171. 관장 관장은 장내에 용액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배출형 관장과 보유형 관장으로 분류됩니다. 청결 관장은 변비 완화, 직장 내 분변 제거, 수술 및 검사 준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생리식염수, 비눗물, 글리세린, 플리트 용액, 미온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정체 관장은 직장과 S상 결장 내로 오일이나 약물을 주입하여 장시간 보유시키는 방법으로, 간성 혼수 환자의 암모니아 배출 및 고칼륨혈증 환자의 칼륨 수치 조절 등에 사용됩니다. 관장 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장 폐색, 뇌압 상승, 임신 초기, 수술 후 등의 경우 ...2025.01.17
-
응급중환자실 케이스 보고서/ AKI / 급성신부전 / 고칼륨혈증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5개2025.01.171. AKI(급성신부전) AKI(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갑자기 악화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전신 쇄약감, 설사, 좌측 근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이 환자의 경우 1주일 전부터 식사량이 감소하고 2일 전부터 설사가 있었으며, 3주 전부터 좌측 근력 저하와 통증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AKI의 주요 증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 고칼륨혈증 고칼륨혈증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 환자의 경우 주진단명에 고칼륨혈증이 포함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증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칼륨...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