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2개
-
연결어미 '-어야지'를 사용하여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필수 조건임을 나타내 표현할 수 있다.2025.01.051. 연결어미 '-어야지'의 사용 연결어미 '-어야지'는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필수 조건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운전면허증이 있어야지 운전을 할 수 있어요.'와 같이 운전면허증이 있어야만 운전을 할 수 있다는 필수 조건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무살이 돼야지 술을 마실 수 있어요.'와 같이 나이가 스무 살이 되어야만 술을 마실 수 있다는 필수 조건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어야지'는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필수 조건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1. 연결어미 '-어야지'의 사용 연결...2025.01.05
-
한국어 격조사의 개념과 종류별 용법2025.01.051. 격의 개념 격은 통상적인 문장 구성에서 명사구가 가지고 있는 추상적인 기능을 뜻하며 일반적으로 체언과 서술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로 규정되어 왔다. 격은 인구어에서는 체언의 어형 변화에 의해 표시되고 국어에서는 체언에 조사가 결합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2. 격조사의 종류와 용법 한국어의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대격조사(목적격조사), 처격조사, 구격조사, 속격조사, 공동격조사, 비교격조사, 호격조사, 서술격조사 등이 있으며 각각의 조사들이 문장에서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주격조사 '이/가'는 주어 뒤에 ...2025.01.05
-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의 의미와 용법2025.01.051.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 '-아서/-어서/-여서'는 한국어 연결어미로, 두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연결어미는 앞의 말과 뒤의 말이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거나, 이유와 근거 또는 수단과 방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세 가지 연결어미는 앞에 오는 동사나 형용사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하다'를 제외하고 모음 끝이 'ㅏ,ㅗ'인 경우는 '-아서', 모음 끝이 'ㅏ,ㅗ'가 아니거나 '이다/아니다'에 경우는 '-어서', '-하다'에 경우 '-여서'를 사용합니다. 초급 학습자들에...2025.01.05
-
한국어 실습 교육 '-기 때문에' PPT 교안2024.12.311. '-기 때문에' 문법 '-기 때문에'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이유를 나타내는 문법입니다. 이 문법을 활용하여 이유에 대해 말할 수 있습니다. '-기 때문에'는 받침 유무와 상관없이 변하지 않으며, 동사나 형용사 뒤에 올 수 있습니다. 또한 명사 뒤에는 '-이기 때문에'로 사용합니다. 과거 시제와도 결합이 가능하지만, 명령/청유/권유 표현과는 함께 쓸 수 없습니다. '-기 때문에'는 '-아서/-어서', '-(으)니까'와 유사한 원인을 나타내는 문법이지만, 각각의 특징이 다릅니다. 1. '-기 때문에' 문법 '-기 때문에' 문...2024.12.31
-
조사와 어미의 개념 및 단어 인정 여부에 대한 견해2025.01.131. 조사의 개념 조사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이나 부사, 어미 뒤에 결합하여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해주는 품사로, 자립성을 가진 말과 쉽게 분리될 수 있어 학교 문법에서 단어로 취급된다. 조사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분류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2. 어미의 개념 어미는 동사, 형용사의 어간에 결합하여 여러 가지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고 활용이 되며 기능을 표시해주는 부분이다. 어미는 자립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항상 어간 뒤에 붙어 나타나며, 문장에서 어간과 분리되거나 생략할 수 없다. 3. 단...2025.01.13
-
격조사와 보조사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1.131. 조사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뒤에 붙어 다른 말에 대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주고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 조사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나뉜다. 2.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에 결합하여 용언(동사, 형용사)에 대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조사로,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부사격 조사 등이 있다. 격조사는 문장 안에서 명사구가 어떤 성분(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으로 쓰이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3. 보조사 보조사는 명사구 뒤에 붙어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로, 문법...2025.01.13
-
주말에 같이 영화 볼까요?2025.01.031. V-(으)ㄹ까요 문법 V-(으)ㄹ까요 문법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묻거나 어떤 행동을 제안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동사에 '-(으)ㄹ까요'를 붙여 사용하며, 받침 유무와 종류에 따라 결합 형태가 달라집니다. 또한 행동을 제안하는 경우에는 형용사와는 결합할 수 없고, 2, 3인칭과도 결합할 수 없습니다. 이 문법을 활용하여 주말에 함께 하고 싶은 활동을 제안하는 연습을 하였습니다. 1. V-(으)ㄹ까요 문법 V-(으)ㄹ까요 문법은 한국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 문법은 화자의 제안, 요청, 질문 등을 표현하...2025.01.03
-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 차이2025.01.041. 한국어의 품사 분류 한국어의 품사는 9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동사, 형용사로 나뉩니다. 각 품사의 특징과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영어의 품사 분류 영어의 품사는 8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명사, 대명사, 동사, 부사, 형용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로 나뉩니다. 각 품사의 특징과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3.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 차이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2025.01.04
-
관형사, 부사,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 설명2025.01.051. 관형사 관형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그 명사의 수량, 소유, 특징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관형사는 불변화어미를 가지며, 명사를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관형사의 종류와 특징을 잘 파악하고 활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부사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 감탄사 등을 수식하는 역할을 하며, 문장의 의미를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는 어떤 동작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부사와 어떤 방식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로 나눌 수 있으며,...2025.01.05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것 같다'의 특징2025.01.081. 한국어 추측 표현 한국어 교육에서 추측 표현은 중요한 문법 항목 중 하나이지만, 한국어의 추측 범주가 다양한 형식으로 실현되고 유사한 표현들이 존재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 학습 부담이 크다. 특히 '-(으)ㄴ/는/(으)ㄹ 것 같다'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추측 표현으로, 의미적, 통사적, 담화적 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것 같다'의 의미적 특징 '것 같다'는 '가상의 동일성'의 의미를 나타내며, 추측의 의미를 갖고 있다. 다른 추측 표현에 비해 인칭, 시제, 서법의 제약이 적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주...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