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개
-
인공신장실 반영일지2025.05.061. 혈액투석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들이 신장 기능이 악화되어 혈액 내에 노폐물이 많이 축적된 경우 혈액 내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동맥과 정맥을 연결한 동정맥루가 필요하며, 이는 수술적으로 만들어진다. 동정맥루에는 AVF(자가혈관)와 AVG(인조혈관)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혈액투석 시 혈액의 응고를 막기 위해 헤파린이 사용되며,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생리식염수 세척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투석 중 합병증 혈액투석 중 또는 후에 ...2025.05.06
-
지역사회간호학(재난체험 보고서- 영화 '컨테이젼')2025.05.071. 감염성 질환의 유행을 막기 위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이 영화에서는 홍콩으로 출장을 간 한 여성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시카고로 돌아오게 된다. 그래서 시카고에 많은 감염자가 생겨 폐쇄하는 상황까지 가게 되었다. 이렇듯 감염성 질환은 한 지역의 최초의 감염자에서 시작하여 다른 지역으로, 한 국가로,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국제적 차원에서 감염성 질환의 원인을 찾고 백신이 만들어질 때까지 지역사회적 차원의 관리와 개인적 차원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간호사가 큰 역할을 차지할 수 있다. 영...2025.05.07
-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정의2025.05.01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역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 직접 또는 간접 접촉에 의해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이 전파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주 시뮬레이션 주제인 '다제내성균 감염 대상자의 간호'에 맞춰 다제내성균 중심으로 정리를 하고자 했다. 2. 다제내성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질환을 의미하며, 특히 다제내성은 여러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종류에는 MRSA, VRSA, MRAB, VRE, CRE, ESBL 등 다양하다. 다제내성...2025.05.01
-
환자 안전과 질 향상 보고서2025.01.161. 환자안전사고: 감염 환자안전사고는 환자에게 보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생명·신체·정신에 대한 손상 또는 부작용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를 일컫는다. 따라서 환자안전은 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를 통한 의료오류나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모든 의료인은 환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함으로써 환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할 의무를 갖고 있다. 환자안전사고는 교통사고 사망자의 2배이며, 암으로 인한 사망자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발생 위험이 높다.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고가 일어나는 원인...2025.01.16
-
감염관리 교육2025.01.161. 손위생 손위생은 병원균 전파 차단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올바른 손씻기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손에 존재하는 미생물 수가 많아 손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손위생 방법으로는 물과 비누 이용과 알코올젤 이용이 있으며, 손위생이 필요한 5가지 시점이 있습니다. 장갑 착용만으로는 손위생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장갑 착용 시에도 손위생이 필요합니다. 2. 개인보호구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 처치 및 관리 시 적용되며, 개인보호구는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과 접촉이 예상되는 치료 동안 시술자의 피부와 ...2025.01.16
-
간호관리학실습 A+CaseStudy 교수님 피드백 반영O(간호과정 1개_불충분한 감염관리와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간호)2025.01.171. 불충분한 감염관리와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 학생이 바쁠 때 장갑만 끼고 환자에게 가는 등 감염관리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병동 내 간호사들의 올바른 손위생 수행, 접촉주의 격리실 출입 시 보호구 착용 등 감염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관찰하여 개선하고자 합니다. 1. 불충분한 감염관리와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 불충분한 감염관리와 관련된 부적절한 질적 간호는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환자의 안전과 건강은 의료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해서는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하...2025.01.17
-
간호학과 ' 기본간호학, 격리지침 '2025.05.141. 격리주의 격리 주의는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여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및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넓은 의미로는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모든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병원의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되며, 혈액, 모든 체액과 분비물, 손상된 피부, 점막에 적용하여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미생물의 전파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주요 내용으로는 장갑 착용, 손 위생, 개인보호구 착용, 안전 주사 실무, 리넨 ...2025.05.14
-
A+ 감염관리지침 격리법 응급간호학2025.05.151. 감염관리 격리 지침법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여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및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격리주의,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등의 방법이 있다. 2. 격리주의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모든 방법이다. 3. 표준주의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내에서 감염원으로 인지되...2025.05.15
-
성인+시뮬+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의 종류2025.04.261.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직/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을 통해 전파되며, 포도알균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화농성 염증, 식중독, 패혈증, 피부연조직 감염 등이 있으며,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전파경로 차단, 항생제 사용 주의, 손위생과 의료기구 소독/멸균 등이 필요하다. 2. VRSA(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2025.04.26
-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공기, 비말, 접촉) 정리 및 COVID2025.05.041. 표준주의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체액, 분비물(땀은 제외),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적용한다. 이는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미생물의 전파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적용한다. 장갑을 착용하고 장갑 착용 전후 손을 씻는다. 필요시 마스크, 보안경, 얼굴 가리개, 가운 등을 착용한다. 오염된 기구나 린넨은 미생물이 타인과 환경에 전파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며 정확히 소독 또는 폐기한다. 사용한 바늘이나 기구들로부터 손상을 예방하고, 뚫리지 않는 용기에 버린다. 호흡기 예절을 지킨다. 2. 전파경로별 주의...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