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모성간호학실습-A+받은 자궁내막 암에 대한 총괄적 소견, 간호진단-감염의 위험성, 급성통증, 고체온2025.01.231. 자궁내막 암 대상자 조OO님은 53세 여자 환자로 2023년 3월 Endometrial Hyperplasia(시간이 지나면 cancer로 발달-불규칙한 vaginal bleeding) 진단을 받고 2차례 D&C(두꺼워진 자궁내막 긁어내는 소파술)을 시행했습니다. 이후 추적 관찰 중 보름 전부터 부정출혈이 있어 Endometrial Cancer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입원했습니다. 입원 당일 V/S는 안정적이었고, 수술 전 장 준비 등의 과정을 거쳤습니다. 수술 후 Foley catheter, JP bag, IV-PCA 등이 ...2025.01.23
-
성인간호학 TKA [total knee arthroplasty]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OR case study2025.01.221. 골관절염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활막 관절의 만성적인 진행성·비염증성 관절질환으로 비교적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의 일부이다. 골관절염은 활액 관절에 있는 관절연골이 퇴행하고 소실되는 것이 특징이다. 골관절염은 가장 흔한 관절의 문제로 노인에게 많이 나타난다. 특히 고관절과 무릎관절처럼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연결부와 척추나 손 등에 잘 생기고, 관절 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 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점점 늘리는 양상을 보인다. 2. 슬관절 슬관절은 외상으로 상처를 받기 쉬운 복...2025.01.22
-
[A+여성간호학] 제왕절개 케이스,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2025.01.03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 분만은 복부 절개를 통해 태아를 분만시키는 방법입니다. 수술 기술과 무균 조작법, 항생제 발달로 모아 사망률은 감소했지만 질분만에 비해 위험률은 여전히 2배 이상 높습니다. 제왕절개 적응증에는 모체와 태아 측 요인, 모체 질병, 중증 감염, 과거 수술 경험, 태아 위험 등이 있습니다. 수술 전 위험 요인 확인과 준비가 중요합니다. 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자연분만에 비해 회복 기간이 길고 합병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2025.01.03
-
성인간호_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2개, 간호계획 1개)2025.01.031. 말초혈관 관류장애와 관련된 급성 통증 수술 후 환자가 다리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피부 상태와 혈액 순환이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물리적 압박과 관련된 급성 통증에 대한 간호 진단과 계획이 필요하다.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 중재, 순환 상태 모니터링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 2.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수술 후 감염 위험이 있는 환자로, 드레싱 상태와 감염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예방적 항생제 투여, 무균술 준수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감염 증상 발현 시 신속...2025.01.03
-
위암 환자의 completion total gastrectomy 수술 간호과정2025.01.041. 위암 위암은 위에 생기는 암으로, 위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한다. 위암은 세계적으로 발생빈도가 줄어들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다. 위암의 발생 원인으로는 만성 위염, 선종성 용종, 유전적 요인, 외인성 물질 등이 있다. 위암의 병기에 따라 수술,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가 이루어진다. 조기 위암의 경우 수술로 완치될 수 있지만, 진행성 위암은 예후가 좋지 않다. 2. completion total gastrectomy completion total gastrectomy는 위 전체를 절제하고 식도와 공...2025.01.04
-
[A+] 성인간호학 대학병원 외과 케이스 / Stomach cancer_비효과적 호흡양상,급성통증_간호과정 2개 (이론적근거)2025.01.121. 위암 위암은 위 점막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98%는 샘암종이고 나머지는 림프종과 평활근육종이 차지한다. 40세 이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호발한다. H.pylori 감염, 흡연, 고염식품, 질산염 화합물 장기간 섭취, 가족력 등이 위암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조기 위암인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고 막연한 소화불량, 조기 포만감, 식욕부진, 오심, 피로, 상복부 불편감을 경험하게 된다. 진단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와 조직 검사가 가장 정확하며, 전혈구 검사에서 빈혈이 나타나는 것도 위암의 징후일 수 있다. 내시...2025.01.12
-
[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2025.01.181. Unstable angina 환자는 71세 남성으로 Unstable angina 진단을 받고 Off-pump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two vessel) 수술을 받았습니다. 수술 과정에서 마취 간호사가 환자의 vital sign을 모니터링하고, 수술 중 필요한 기구와 장비를 준비하고 사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경식도 초음파(TEE)를 이용해 심장 기능을 확인하고, 관상동맥 내 shunt를 삽입하여 혈류를 유지하는 등의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 2. Abno...2025.01.18
-
자궁근종 case study2025.01.151. Leiomyoma of uterus 자궁 근종은 자궁의 양성 종양으로 여성 생식기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30-40대 사이에 주로 발생하지만 어떤 연령층에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자궁 근종은 젊은 여성에서 더 빨리 자라는 경향이 있으며, 백인보다 흑인에게 더 많이 있다고 합니다. 자궁 근종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자궁벽의 근육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 근종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궁 근종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2025.01.15
-
심장내과 daily case report2025.01.031. Atrioventricular block, second degree 70세 여성 환자로, 2도 방실차단과 2:1 방실차단 진단을 받고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을 위해 입원했습니다. 환자는 과거력으로 우측 어깨 수술, 좌측 손목 골절 수술, 심실 전도 이상, 골관절염 등이 있었습니다. 입원 기간 동안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심박동기 삽입술 후 심박수가 정상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수술 부위 통증과 발열 등의 합병증이 발생했지만 적절한 간호 중재로 호전되었습니다. 환자는 입원 생활과 수술 전후...2025.01.03
-
A+ 폐절제술 수술실 케이스스터디2025.01.031. 폐암의 병태생리와 치료 폐암은 만성적 자극 또는 염증 유발물질의 흡입에 반복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주요 위험요인은 흡연이다. 폐암은 비소세포암(편평상피세포암, 선암, 대세포암)과 소세포암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과 치료법이 다르다. 폐암의 치료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사용되며, 병기에 따라 단일 또는 병합 치료를 시행한다. 2. 폐절제술의 종류와 적응증 폐절제술에는 폐엽절제술, 쐐기절제술 등이 있다. 폐엽절제술은 폐엽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로, 폐암, 폐기종성 수포, 양성종양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