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선하증권2025.01.201. 선하증권의 의의 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해로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고자 화주가 해상운송업자와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그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운송서류입니다. 선하증권은 육상운송의 화물수취증과 같이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의 역할과 화주로부터 화물을 해상운송업자가 수취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화물의 권리를 나타내는 권리증권(document of title)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서류입니다. 2. 선하증권의 내용 선하증권의 양식은 항로,...2025.01.20
-
해상운송인의 운송책임2025.01.201. 해상운송인의 개요 해상운송인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목적항까지 운송하고, 그 대가로 해상운임을 획득하는 업자이다. 이들은 대부분의 수출입 화물과 원자재를 대량으로 운송함으로써 세계 무역의 발전과 효율적인 자원배분에 기여하고 있다. 정기선 운송업자들은 고품질의 해운서비스를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화주들의 계획적인 활동을 지원한다. 2. 해상운송인의 운송책임 대부분의 해상운송 계약은 운송업자와 화주 간의 부합계약 형태로 이루어지며, 운송업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운송약관을 설정하여 책임범위를 경감하려 노력해왔다....2025.01.20
-
FOB(본선인도조건)조건의 개념, 특징, 사례 분석 조사2025.01.131. FOB 계약조건의 의의 FOB 계약조건은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된 선박에 적재하는 시점까지의 모든 비용과 책임을 부담하는 것을 규정합니다. 매도인이 합의된 선적항에서 물품을 선박의 '선측난간(ship's rail)'을 지날 때, 즉 본선에 적재할 때까지의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하며, 물품이 선박에 적재된 그 순간부터는 모든 비용 및 물품에 대한 멸실이나 훼손의 위험은 매수인에게 전환됩니다. 2. 영국법에 따른 FOB 계약조건의 본질 선적지 매매조건: '선적지'는 물품에 대한 위험과 비용부담의 분기점이며 소유권이 이전되는 장소입니다...2025.01.13
-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유형), 해상화물운송계약, 해상운송 관련 서류, 컨테이너운송2025.01.181. 해상운송의 의의 해상운송(carriage by sea)이란 항해용으로 제공된 선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해상예서의 화물 또는 여객의 운송을 말한다. 해상운송은 무역거래에 이용되는 운송방식 중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서 대량수송이 가능하고 운송원가가 저렴하며 주로 장거리운송에 이용된다. 2. 해상운송의 형태 해상운송은 선박의 운항형태에 따라 정기선 운송과 부정기선 운송으로 나누어진다. 정기선은 정기항로를 사전에 결정된 운항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항행하는 선박이며, 부정기선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로 어디에나 취항하는 선박...2025.01.18
-
선하증권2025.01.221. 선하증권 개관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은 해상운송인에 대해 운송물의 인도청구권을 증권화한 유가증권입니다. 운송인이 그 증권에 기재된 화물을 수취하였음을 확인하고 또한 그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여 그곳에서 그 화물을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수하인)에게 인도해야 한다는 취지를 약정한 유가증권입니다. 선하증권은 요인증권, 문언증권, 요식증권, 채권증권, 유통증권의 성질을 가집니다. 2. 선하증권의 종류 선하증권에는 선적선하증권, 수취선하증권, 전통선하증권, 무고장선하증권, 고장선하증권, 기명식 선하증권, 지시...2025.01.22
-
[해상운송서류] 선하증권과 해상화물운송장2025.01.241. 선하증권 선하증권은 해양운송계약 하 운송화물을 표창하여 발행되는 것으로서 운송계약의 증거와 운송인의 당해 화물을 인수하였다는 수령증의 역할을 담당한다. 선하증권은 유가증권 또는 권리증권적 성질을 지니며, 화물이 도착하기 전에도 이를 처분 및 전매할 수 있는 유통성을 가지고 있다. 2. 해상화물운송장 해상화물운송장은 선하증권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대안으로, 선하증권과는 여러 가지 성격을 달리한다. 해상화물운송장은 유가증권 또는 권리증권적 성격을 띠지 않으며, 유통성도 없다. 또한 발행 방식, 화물 인도 절차 등에서도 선...2025.01.24
-
선하증권관련 신용장조건2025.01.291. 선하증권 선하증권의 발행과 그 내용에 관한 통상적인 신용장상의 조건은 "Full set clean on board ocean bills of lading made out to order of Shipper(or opening bank) and endorsed in blank, marked freight Prepaid/collect"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ull Set: 선하증권은 운송 중 사고나 분실에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원본 3통을 1조(Set)로 하여 발행된다. Clean B/L: 선...2025.01.29
-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 발행과 배서, 선하증권 수리요건2025.01.291.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은 운송서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로서, 송하인과 수화인이 물품의 인도. 인수를 위하여 물품운송의 임무를 맡은 선박회사가 송하인의 청구에 의하여 발행하는 운송서류를 말한다.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물품을 수령한 것을 확인한 후, 양륙항에서 그 선하증권의 소지인에게 선하증권과 교환하여 물품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수령증이며, 선박회사와 화주간의 운송계약서이다. 2.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 선하증권은 증권면에 기재된 물품의 소유권을 표창하고 있어, 선하증권을 유상으로 취득...2025.01.29
-
복합운송증권2025.01.201. 복합운송증권의 의의 복합운송증권(Multimodal Transport Document: MTD)은 이종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복합운송인과 화주가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그 계약의 증거서류로서 발행되는 운송서류를 말한다. 이러한 복합운송증권은 전 운송구간에 걸쳐 적용되는 것이며, 선하증권과 마찬가지로 복합운송 계약의 증거서류일 뿐만 아니라, 화물에 대한 권리 증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2. 복합운송증권의 유형 복합운송증권은 그 발행주체에 따라 실제운송인이 발행한 복합운송증권과 운송주선인이 발행한...2025.01.20
-
선하증권 약관 해설(해석, 번역)2025.01.201. 최우선약관(Paramount Clause) 최우선약관은 이 선하증권이 특정법의 지배를 받는다는 점을 규정하고 있다. 즉, B에 의해서 증명된 운송계약은 헤이그 규칙, 헤이그-비스비 규칙, 선적국 또는 양륙국의 해상화물운송법(COGSA) 등을 적용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B/L이 발행된 경우, 분쟁이 발생하면 먼저 최우선약관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2. 공동해손/신제이슨악관(New Jason Clause) (A)항은 공동해손에 관한 조항으로서, 공동해손의 정산은 1994년 요오크 앤트워프(York Antwerp Rules:...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