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선천성심장질환(Tetralogy of fallot) 환아 사례, 원인, 병태생리, 임상양상, 진단, 치료, 객.주관적 자료, 간호진단2025.04.281. 선천성심장질환(Tetralogy of fallot) 팔로 4징후(tetralogy of fallot, TOF)는 다음의 네 가지 병변이 동반된 선천성 심장병을 말하며, 이중 가장 중요한 병변은 심실 중격 결손과 폐동맥 협착이다. 전체 선천성 심질환의 5~10%에서 발생하며 가장 흔한 청색증형 결손이다.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유전적 요소, 약물 노출, 선천성 감염 등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병태생리는 폐동맥 협착과 심실 중격 결손으로 인해 혈액의 산소화에 문제가 발생하고 저산소혈증과 우심실 비대증이 나타나게 된다. 임...2025.04.28
-
선천성심장질환 아동의 수술간호2025.04.281. 선천성심장질환이란? 선천성 심장질환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심장의 기형 및 기능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질환입니다. 태아 때 진단되기도 하고 출생 수년 뒤 진단되기도 하며, 유아기와 아동기에 수유 곤란, 호흡 곤란, 발육부전,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선천성심장질환 아동의 수술 종류와 간호중재 선천성심장질환 아동에게 시행되는 다양한 수술 종류와 각 수술에 대한 간호중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심방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동맥관개존증, 방실중격결손, 대동맥축착, 대동맥판협착, 폐동맥판협착, 팔로네증후, 삼첨판막...2025.04.28
-
심실중격결손 뇌종양 수두증 요로감염 당뇨병성 케톤산증 문헌고찰2025.01.221. 심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의 원인은 대부분 분명하지 않으며, 다운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이상이 관련될 수 있다. 증상은 결손의 크기와 폐혈관 저항에 따라 다양하며, 심장 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는 수술이나 폐쇄 기구로 결손 부위를 막는 것이다. 2. 뇌종양 뇌종양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화학물질, 방사선, 바이러스, 유전적 요인 등이 관련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두통, 오심/구토, 시력 저하, 언어 장애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신경학적 검사와 영상검사를 시행한다. 치료는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3...2025.01.22
-
[A+]PICU 삼첨판폐쇄증(Tricuspid atresia, TA) case study, 진단 2개, 간호과정 1개(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자발적 환기장애)2025.05.041. 삼첨판폐쇄증(Tricuspid atresia, TA) 삼첨판폐쇄증(Tricuspid atresia, TA)은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연결하는 삼첨판이 완전히 막힌 기형으로, 양심방 사이에 심방중격결손과 양 심실 사이에 심실중격결손이 있어야만 생존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폐동맥 협착이나 폐쇄, 대혈관 전위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출생 시 청색증, 빈맥, 빈호흡,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로는 신생아기에 폐동맥 폐쇄가 동반되어 청색증이 심한 경우 체폐단락수술을 시행하고, 이후 양 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연결 수술, Fo...2025.05.04
-
아동 심장질환 간호 및 관리(심실중격결손)과 관련된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5개2025.01.131. 심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비정상적인 개구로서 개구의 위치에 따라 막양부결손, 근성결손으로 분류된다. 결손의 크기는 다양하며, 많은 VSD는 자연적으로 폐쇄되는 경향이 있다. 증상은 결손의 크기와 폐혈관 저항에 따라 결정되며, 작은 결손은 증상이 없지만 큰 결손은 생후 3-4주부터 심부전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내과적 치료가 있으며, 수술적응증과 시기는 결손의 크기와 합병증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2. 심실중격결손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심실중격결손 아동의 간호진단으로는 '부적절한 분비물 ...2025.01.13
-
태아 순환 및 출생 후 순환2025.05.121. 태아 순환 태아는 폐와 소화기의 활동이 없으므로 태아의 영양물, 산소의 공급 및 노폐물의 배설은 모두 태반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태아 순환은 태반 → 제대정맥 → 정맥관 → 하대정맥 → 우심방 → 난원공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그리고 태반 → 제대정맥 → 정맥관 → 하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폐동맥 → 동맥관 → 대동맥의 경로로 이루어집니다. 2. 출생 후 순환 출생 후 아기가 태어나 호흡을 하게 되면 태아 순환이 끝나게 됩니다. 우심실 → 폐동맥 → 폐의 모세혈관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2025.05.12
-
동맥관개존증 (PDA)2025.01.191. 동맥관개존증 (PDA) 동맥관개존증(PDA)은 모든 선천성 심장질환의 10%를 차지하며 여아가 남아보다 두 배로 높고 임신 초기에 풍진에 감염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조산아에서의 발생빈도는 재태기간과 반비례한다. PDA는 재태 기간이 28주 미만 신생아의 60%에 달한다. PDA는 다른 선천성 심장질환과 함께 올 수 있으며 어떤 선천성 심장질환(활로 4징후, 좌심형성부전 증후군)에서는 동맥관을 개존 시켜 패혈류나 체혈류를 유지해 생존하게 할 수 있다. 동맥관은 정상적으로 출생 후 24시간 내에 50% 정도 닫히고 48시간까지...2025.01.19
-
심방중격결손(ASD)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2025.05.031.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구멍의 크기가 작거나 중간 크기일 때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아동이 성장한 이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아동은 놀 때 쉽게 지치고, 땀을 많이 흘리며, 호흡곤란, 잦은 호흡기 감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구멍이 작고 증상이 없을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구멍이 커지거나 우심실이 비대해지는 등...2025.05.03
-
의료관련 이슈를 다룬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의학용어 조사2025.05.101. 대혈관전이증(TGA) 대혈관전이증(TGA)은 대동맥과 폐동맥(허파동맥)이 바뀌어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오는 선천성 심장질환을 말한다. 지연흉골봉합 수술은 수술 후 여러 사정으로 닫지 못했던 흉골 부위를 봉합하여 마무리하는 수술을 말한다. 2. 폐소염증 수술 직전 열이 38.3도로 오르고 콧물도 조금 있어서 진찰해본 결과 폐소리가 안 좋아서 수술을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는 폐렴 증상으로 보인다. 3. 복벽결손증(Gastraschisis) 복벽결손증은 태아에 배 근육이 발달하지 못해서 장이 몸밖으로 나와있는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