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1개
-
중앙공급실, 감염관리실 견학보고서2025.05.031. 소독과 멸균의 정의 소독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고 멸균은 병원성 미생물, 비병원성 미생물과 아포를 모두 사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의료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기구, 준위험기구, 비위험기구로 분류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을 적용한다. 2. 중앙공급실의 역할 중앙공급실은 진료가 정확하고 안전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진료에 필요한 의료기구, 위생재료, 각종소독품 등을 멸균, 정비하여 각 부서의 요구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급할수 있도록 제반 활동을 관장하는 부서이다. ...2025.05.03
-
소독과 멸균2025.04.271. 소독과 멸균의 적용 원칙 의료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 기구, 준위험 기구 및 비위험 기구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적용해야 한다. 고위험 기구는 멸균 처리, 준위험 기구는 높은 수준의 소독 또는 멸균, 비위험 기구는 낮은 수준의 소독을 적용한다. 2. 소독 방법 소독 시 제품 사용설명서를 확인하여 소독제 농도, 적용 시간, 유효기간 등을 준수해야 하며, 소독 대상 물품의 모든 표면이 소독제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개봉한 소독제는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소독제 용기...2025.04.27
-
성인간호학 소독 및 멸균 자료조사2025.05.151. 소독 및 멸균의 정의 소독은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며, 미생물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오염으로 간주되어 환자의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2. 소독 및 멸균의 필요성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의료기구나 물품의 올바른 소독과 멸균은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며, 환자를 둘러싼 의료기관 환경 표면의 미생물 오염은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3. 소독 및 멸균의 적용 수술 시 피부 절개, 화상이나 외상으로 피부 통합성이 손상된 경우, 무균 상태의 체강 내 카테터나 수술 기구 삽입 시 소독 및 ...2025.05.15
-
감염관리실_ 8.4.2 호흡기 치료기구 감염관리 (부착물,유인물,교육자료로 사용)2025.01.201. 호흡기구 관리지침 호흡기구 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산소 발생기, 일회용 산소 발생기, Nebulizer, T-tube(inner), O2 mask·Line·Air way·Vent circuit, Ambu bag·Ambu mask, Laryngoscope, 흡인기 등의 관리 방법과 소독 주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기관내 흡인 관리 기관내 흡인 시 준비물, 흡인 압력, 카테터 삽입 길이 등 흡인 절차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3.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법 VAP(Ventilator Associated Pn...2025.01.20
-
감염관리실_재활치료실 감염순회체크리스트 및 항목의 근거자료_병원2025.01.121. 손위생 모든 환자 접촉 전 후 손 위생을 실시하는지 확인하였다. 알코올젤이 사용하기 편한 곳에 비치되어 있으며, 알코올젤과 물비누가 청결하고 파손 없이 작동이 잘 된다. 개봉된 알코올젤과 물비누에 유효기간이 표시되어 있으며 양호하다. 손위생용 싱크에 비누와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고 손위생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2. 의료기구 관리 멸균물품과 청결물품이 구분되어 보관되어 있고 선입선출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개봉한 소독제의 개봉일과 유효기간이 적절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양호하다. 유효기간이 경과한 물품은 없다. 소독제 희석액의 희...2025.01.12
-
의료기구 감염관리(세척, 소독, 멸균)에 관한 레포트2025.01.111. 감염미생물과 간호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화학요법의 발달,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균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의료 관련 감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써 소독과 멸균을 완전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의료 관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소독과 멸균이라고 할 수 있다. 2. 세척 세척은 대상물로부...2025.01.11
-
병원 컨퍼런스 자료-소독과 멸균2025.01.161. 소독과 멸균이란? 소독(Disinfection)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고, 멸균(Sterilization)은 병원성 미생물, 비병원성 미생물과 아포를 모두 사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2. 의료기구의 분류 및 요구되는 소독 수준 의료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기구, 준위험기구, 비위험기구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적용한다. 3. 고압 증기멸균이란? 고압 증기멸균은 물체의 표면이 직접 표면에 접촉되면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형성되고, 온도의 상승에...2025.01.16
-
[식품미생물학및실험] Quartering(사분법)에 의한 세균배양, 순수분리 실험 보고서 레포트2025.01.171. Quartering(사분법)에 의한 세균배양·순수분리 이 실험의 목적은 검체 중에 들어있는 세균을 순수 분리하고, 계대 배양하여 집락의 특성을 익히는 것입니다. 백금이를 이용하여 균을 채취한 후 평판배지 위에 균을 4번 획선 접종함으로써 균을 단일 colony로 취할 수 있습니다. 계대 배양은 세포를 동물로부터 떼어내어 배양접시나 시험관에서 배양하는 것을 말합니다. 집락은 1개의 세균 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눈으로 볼 수 있는 하나의 균 집단을 형성한 것입니다. 2. 슈도모나스 슈도모나스는 감마 프로테오박테리아의 한 종류입니다....2025.01.17
-
[A+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전학습, 간호사의 역할, 무균술, 마취의 종류 등.2025.01.18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에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있다.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며, 수술 과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고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전 준비, 수술 중 필요한 물품 공급, 수술 후 정리 등의 역할을 한다. 2. 외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은 내과적 무균술보다 엄격한 주의를 요한다. 외과적 무균술은 주로 수술실, 분만실, 특수진단실 등에서 필요하며, 손 씻기, 장갑 착용, 가운 착용, 멸균영역 준비하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 간호 시 적...2025.01.18
-
감염관리(소독과 멸균, 격리, 직원감염예방)2025.01.181. 소독과 멸균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구를 적절한 방법으로 소독, 멸균하여 사용함으로써 감염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이 기구를 통해 환자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구의 부적절한 소독과 멸균은 외인성 감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기구의 감염위험 정도에 따라 고위험, 준위험, 비위험 기구로 분류하여 각각 멸균, 높은 수준 소독, 세척 및 소독 등의 방법으로 관리한다. 소독제 사용 시 일반적 원칙과 멸균 방법(열, 저온, 화학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격리 감염 전파 경로에 따라 표준주의, 공기매개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