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선천성 심장질환(비청색증형)2025.01.151. 선천성 심장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CHD) 선천성 심장질환은 1,000명 출생아 중 4~10명 정도로 발생하며, 영아 사망의 주요 원인입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아동은 심장 이외의 결함을 동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의 높은 발생율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유전학적 요인, 임신 기간 중 어머니의 풍진감염, 알코올 중독, 연령, 당뇨병, 형제의 심장결손, 부모의 선천성 심질환, 염색체 이상, 다른 선천성 기형 등이 있습니다. 2. 비청색증형 결손(acyanotic defects) 비청색증...2025.01.15
-
아동 순환기계질환(비청색증형, 청색증형) 문헌고찰2025.04.261. 비청색증형 순환기계질환 비청색증형 선천심장병에는 폐혈류 증가와 혈류 폐쇄 유형이 있음. 폐혈류 증가 선천심장병은 심장 또는 혈관 내 비정상적인 구멍이 있는 결손으로 심방중격결손(ASD), 심실중격결손(VSD), 동맥관개존증(PDA) 등이 해당함. 혈류 폐쇄 선천심장병은 혈관 또는 판막이 좁아지거나 폐쇄된 결손으로 대동맥축착(COA), 대동맥판협착(AS), 폐동맥판협착(PS) 등이 해당함. 2. 심방중격결손(ASD) 심방중격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벽에 한 개 혹은 여러개의 구멍이 있는 비교적 가장 흔한 선천심장병 중 ...2025.04.26
-
동맥관개존증(PDA) 케이스스터디 사례보고서2025.05.031. 동맥관 개존증 동맥관 개존증(PDA)은 미숙아에게 흔한 합병증으로, 태아 시기에는 혈관이 열린 상태로 있다가 출생 후 산소 압력 증가로 인해 닫히지만 미숙아의 경우 호흡기 손상과 관련되어 동맥관이 다시 열리게 된다. 진단은 흉부 X선, 심전도, 심초음파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수액 조절, 호흡 보조, 약물 투여 등으로 이루어진다. 간호사는 조기 진단을 돕고 심혈관 상태를 사정하며 치료 후 합병증을 감시해야 한다. 2. 미숙아 간호 이 환아는 31주 5일 만에 태어난 미숙아로, 출생 시부터 청색증, 얕은 호흡 등의 증상을...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