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개
-
전문간호 분야별 활동 및 대한간호협회 조직의 발전 및 활동2025.01.211. 대한간호협회 대한간호협회는 1923년 5월 12일 조선졸업간호부회 창립으로 시작하였으며, 1946년 조선간호협회로 이름을 바꿨다가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따라 대한간호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49년에 ICN(국제간호협의회)에 정회원국으로 가입하였고, 1957년 7월 사단법인으로 등록하고 국민의료령에 의해 '간호원 중앙회'가 되었다. 1962년 간호원의 미국 진출이 시작되었고, 1966년 1월 대규모의 간호원이 독일에 진출하였다. 1970년 대한간호학회를 조직하였고, 1972년 한국간호원 윤리강령을 만들어 선포...2025.01.21
-
간호법 관련 간호정책 활동 보고서2025.01.221. 간호법 간호법은 의료인, 의료행위의 범주에서 간호, 조산에 관한 사항을 독자적인 법률로 제정함으로써 간호 업무 범위와 간호 전문인력의 양성, 수급, 근무환경 개선 등을 체계적으로 규율해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려는 법률이다. 간호법 제정의 주요내용에는 간호사의 업무범위 명확화, 적정한 노동시간 확보, 일-가정 양립지원 및 근무환경 처우 개선, 간호종합계획 수립 및 실태조사, 환자 안전을 위한 적정 간호사 확보와 배치, 간호사 인권침해 방지 조사 및 교육 의무 부과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간호법 제정이 필요한 이유는 간호의 업무범...2025.01.22
-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 보고서2025.01.021.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 현재 우리나라 간호사의 근무환경은 '태움', '3교대', '임신순번제'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는 간호사 인력 부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정부는 2018년 3월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을 발표하여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처우를 개선하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이런 정책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간호사들의 이직률도 크게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더 확실한 법적 제도를 마련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1.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2025.01.02
-
보건복지부 간호정책과 대한간호협회 간호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2025.01.061. 우리나라 간호정책 현황 보건복지부는 2022년 간호정책TF팀을 간호정책과로 확대 설치하여 간호정책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 태움 등 인권침해 방지, 간호인력 확충 및 전문성 강화, 간호서비스 질 제고 등이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사의 권익을 옹호하고 국가간호사업 발전을 지원하는 단체로, 간호법 제정 등 정책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 우리나라 간호정책의 문제점 간호인력 정책의 문제로, 간호대학 정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실제 의료현장에서 활동하는 간호사 수가 부족...2025.01.06
-
간호사의 사회적 책무와 간호정책2025.01.281. 간호사의 사회적 책무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책무이다. 또한 간호사는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며,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들은 건강정책과 제도 개선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다. 2. 간호정책 간호정책은 간호사가 협동하고 자원을 잘 활용하며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PA(physical assis...2025.01.28
-
간호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 탐구2025.05.021. 간호실무의 윤리적 쟁점 간호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탐색하였다. 영화 '월요일이 사라졌다'와 드라마 '대장금'에서 나타난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여 간호사들이 겪을 수 있는 윤리적 갈등을 고찰하였다. 간호사는 법령을 준수해야 하지만,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도 있어 이 두 가지가 충돌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관련 법규와 윤리 지침을 이해하고, 간호정책 참여를 통해 문제 해결을 모색할 수 있다. 1. 간호실무의 윤리적 쟁점 간호실...2025.05.02
-
보건의료법규 국내외 최신보건의료법과 관련된 기사 및 간호문제와 관련하여 필요한 간호정책2025.05.131. 최신 보건의료법과 관련된 기사 최근 5년간 간호사 법정 정원 미준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7147곳에 달했으나, 행정처분을 받은 곳은 150여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국민과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와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행 의료법 내 법정간호인력기준을 고치고, 정원 기준 위반 의료기관에는 실효성 있는 실태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 간호정책의 필요성, 목적, 의의 간호인력의 충분한 배치로 간호사 1인당 환자의 수를 낮추어 간호 노동 정도를 개선시켜 간호사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며 국민 건...2025.05.13
-
간호윤리와 정책 ) 최근 이슈화된 간호윤리와 정책에 대한 쟁점2025.05.131. COVID-19와 간호사 윤리 문제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들이 겪은 윤리적 문제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간호사들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감염 위험에 노출되면서도 환자 돌봄의 책임을 다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들의 인권과 안전, 그리고 윤리적 갈등이 발생했다. 2. 연명의료 연명의료 결정법 시행 이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간호사들의 관련 지식과 경험 부족으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에게 충분한 설명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3. 간호법(간호법 제정안) 간호법 제...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