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3개
-
RC,RL,RLC회로의 과도상태와 정상상태2025.05.011. RC,RL,RLC회로의 과도상태 RC,RL,RLC회로에서 전원이 켜질 경우 과도상태가 발생합니다. 인덕터와 커패시터에 에너지가 저장되다가 시간이 지나면 인덕터의 역기전력이 무의미해져 쇼트되고, 커패시터의 분극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전기장의 형태로 에너지가 저장되어 회로가 개방됩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회로가 됩니다. 2. RC,RL,RLC회로의 정상상태 RC,RL,RLC회로에 10V AC가 공급되면 축전기와 인덕터가 교류 전원에 의해 저항의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각각 용량리액턴스와 유도리액턴스라고 합니다. 이러한...2025.05.01
-
RC, RL 미적분 회로 예비 보고서2024.12.311. 커패시터의 전류-전압 특성 커패시터는 두 도체판 사이에 유전체를 두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소자입니다. 커패시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하가 축적되어 지수 함수적으로 전압이 증가하며, 방전 시에는 지수 함수적으로 전압이 감소합니다. 커패시터의 전류는 전압의 미분값에 비례합니다. 2. 인덕터의 전류-전압 특성 인덕터는 철심에 절연된 도체를 나선형으로 감은 소자로, 전압과 전류의 관계가 커패시터와 반대입니다. 인덕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며, 전압이 제거되면 전류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합니다. 인덕터의 전압...2024.12.31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_LPF와 HPF 설계 (보고서 1등)2025.05.101. LPF 설계 및 주파수 응답 실습 LPF 실습을 통해 RC 직렬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파형을 측정하였다. 설계한 회로에서 사용한 저항의 크기는 1kΩ이었으며, 가변저항으로 1.003kΩ을 맞추어 사용하였다. 오차는 0.3%였다. LPF 입력전압의 최댓값은 1.03V, 출력전압의 최댓값은 0.820V로 측정되었다. 실습 결과 LPF 입력전압은 예상 최댓값 대비 3%의 오차율을, LPF 출력전압은 3.2%의 오차율을 보였다. 타원형 그래프 분석 결과에서도 유사한 오차율을 확인하였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가변저항 사용...2025.05.10
-
부산대 기초전기전자실험 결과보고서 7주차 A+보고서 1등보고서2025.05.161. Rc 회로 Rc 회로에서 R=2k옴, C=0.001F, 0.1uF일 때 입력전압이 2, 10kHz인 정현파일 때 회로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실험값과 이론값이 유사하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 RL 회로 RL 회로에서 저항 R은 300옴, 인덕터 L은 1mH, 0.15mH일 때 입력전압이 100[kHz], 2의 정현파일 때 회로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실험값과 이론값이 유사하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1. Rc 회로 RC 회로는 저항(R)과 커패시터(C)로 구성된 전기 회로입니다. RC 회로는 전압 및 전류의...2025.05.16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 (Transient Response)2025.04.291. 인덕터 이번 실험을 통해 인덕터의 기능과 time constant τ의 의미 등 전공 공부를 통해 배웠던 내용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전압 파형과 저항 전압파형, 인덕터의 전압파형을 확인한 결과 저항전압파형과 인덕터의 전압파형의 합이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임을 알 수 있었다. Time constant τ를 측정한 결과 9.4 [㎲]로 이론값 9.52 [㎲]와 1.26%의 오차율을 보였다.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한 결과 9.52 [...2025.04.29
-
미분, 적분 회로 예비보고서2025.01.121. 미분회로 RC 직렬회로에 페이저법을 사용하여 KVL을 적용하면 입력전압 대 저항에 전달되는 출력전압의 비가 RC 시정수가 작을 경우 주파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 구형파, 정현파, 삼각파를 인가했을 때 각각의 출력 파형을 관찰하여 미분회로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적분회로 RC 직렬회로에서 RC 시정수가 클 경우 입력전압 대 커패시터에 걸린 출력전압의 비가 주파수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 구형파, 정현파, 삼각파를 인가했을 때 각각의 출력 파형을 관찰하여 적분회로의 특성...2025.01.12
-
RC,RL회로 시정수 & RLC 직렬회로 과도특성 결과보고서2025.01.121. RC회로 시정수 RC회로에서 입력 구형파를 채널 1에 연결하고 커패시터의 출력파형을 채널 2에 연결하여 비교한 결과, 커패시터 값을 변화시키면서 시정수 값을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였다.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없었다. 2. RL회로 시정수 RL회로에서 입력 구형파와 인덕터의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파형을 비교하였다. 디지털 멀티미터로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결과 1.37mA였다. 3. RLC 직렬회로 과도특성 RLC 직렬회로에서 입력 구형파와 각각의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의 출력 파형을 비교하였다. 저항의 출력 파형...2025.01.12
-
RL회로에서의 유도 법칙 적용2025.04.281. RL회로에서의 유도전류의 흐름 RL회로에서 기전력을 연결하면 축전기의 전하가 지수함수적으로 나타나며, 유도기 L이 있을 경우 전류가 서서히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유도기는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일반 도선처럼 작용한다. 2. RL회로에서의 고리 규칙 적용 RL회로에서 고리 규칙을 적용하면 -iR - L(di/dt) + xi = 0의 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저항기를 통과할 때는 -iR의 퍼텐셜 변화가, 유도기를 지날 때는 자체 유도 기전력 xi_L이 생겨 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 3. RC회로 내 이차 미분방...2025.04.28
-
기초회로실험 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실험 예비보고서2025.04.291. RLC 회로의 과도응답 RLC 회로의 과도응답을 분석하였습니다. 과감쇠(Over Damped) 응답, 임계감쇠(Critically Damped) 응답, 저감쇠(Under-Damped) 응답, 무손실(Lossless) 응답 등 4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각 경우의 특성 다항식과 과도응답 수식을 제시하였습니다. 2. RLC 회로의 정상상태응답 RLC 회로의 정상상태응답을 분석하였습니다. 회로 방정식을 페이저 관계식으로 변환하여 정상상태 응답 수식을 도출하였습니다. 3. RL 회로 시정수 측정 RL 회로를 구성하여 구형파 ...2025.04.29
-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Transient Response)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RL 회로 10mH 인덕터와 1kΩ의 저항을 사용하여 RL회로를 구성하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RL time constant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은 FG를 사용하여 1V 사각파(high = 1V, low = 0V, duty cycle = 50%)로 인가하였다. 또한 인덕터가 충분한 자기에너지를 충전, 방전할 수 있도록 이 사각파의 주기를 10τ,즉,100μs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한 시정수는 9.50μs였고 오차는 5%였다. 2. 입력전압 변화 입력전압을 ±0.5 V의 사각파(high = 0.5 V, low = - 0.5...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