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5개
-
전고관절치환술(THR) 수술 과정 및 간호 보고서2025.11.111. 대퇴골두무혈성괴사(ONFH) 대퇴골두무혈성괴사는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뼈가 썩는 질환이다. 주로 30~50대 중년 남성에게 발생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약 60%의 환자에게 양측성으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음주와 부신피질호르몬제가 전체 원인의 90%를 차지하며, 고관절 외상, 잠수병, 통풍 등도 위험 인자이다. 초기에는 큰 증상이 없으나 괴사가 진행되면서 고관절 통증, 운동범위 제한, 절뚝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MRI가 가장 정확하며 초기 X-ray에서는 정상 소견으...2025.11.11
-
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인공호흡기 모드2025.05.141. CMV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는 흡기 시 목표하는 기도내압을 정하여 정해진 흡기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기도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기 모드입니다. 일회 환기량(tidal volume)은 일정하지 않지만, 압력에 의한 폐 손상(barotrauma)을 예방할 수 있어 ARDS 환자에게 유리합니다. 2. VCV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VCV는 흡기 시 목표하는 일회 환기량을 정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한 유량으로 설정된 용량을 전달하는 환기 모드입니...2025.05.14
-
A형간염 감염관리 교육2025.05.151. A형간염의 개요 A형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에 의한 급성 간염질환입니다. 주요 전파경로는 직접전파(분변-경구 경로, 성접촉, 드물게 헌혈)와 간접전파(환자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입니다. 잠복기는 15~50일(평균 4주)이며, 주요 증상으로는 전구증상(발열, 두통, 병감, 피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 체중감소)과 고빌리루빈혈증 증상(짙은 소변, 점토색 대변, 황달, 공막 황달)이 있습니다. 대부분 자기한정적이며, 지지요법/대증요법으로 치료하고 전격 간염 시 간이식을 고려합니다....2025.05.15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정확한 간호기록2025.05.111. 정확한 간호기록 간호기록은 간호과정 내용을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서식지로서, 환자 상태변화와 수행된 간호활동을 자세히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간호기록의 방법으로는 정보중심기록, 문제중심기록, PIE형식, 초점기록, 특기사항기록, 사례관리모델, 컴퓨터기록 등이 있다. 간호기록의 원칙으로는 정확성, 적합성, 완전성, 간결성, 적시성이 있으며, 간호기록 작성 시 내용, 빈도, 양식 등을 고려해야 한다. 1. 정확한 간호기록 정확한 간호기록은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기록은 환자의 상태와 간호 과정을 상세히 ...2025.05.11
-
욕창환자 사정도구2025.01.221. 욕창발생위험도구 욕창발생위험도구는 환자에게 욕창발생위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점수화된 측정 도구입니다. Braden Scale은 환자의 욕창발생 위험수준을 가늠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쉽습니다. Braden Scale의 항목은 '움직임 정도', '영양상태', '습기여부', '마찰 및 미끄러짐', '감각인지정도', '활동상태'의 6개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항목 당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면 최하 6점에서 최대 23점까지 분류됩니다. 낮은 점수일수록 욕창발생위험이 큰 것으로 간주됩니다. Braden Scale의 장점은 6가...2025.01.22
-
간경변증 대상자의 간호과정 적용2025.11.171. 체액불균형 간기능 저하로 인한 체액불균형은 간경변증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입니다. 본 사례에서 대상자는 I/O 불균형(입량 300ml, 출량 700ml), 낮은 알부민 수치(2.4g/dL), 전해질 불균형(Na 117, K 2.6, Cl 63mEq/L)을 보이고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V/S 모니터링, I/O 지속적 확인, 알부민 및 영양분 IV 투여, 금주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2. 출혈위험 간경변증으로 인한 간기능 저하는 응고인자 생성 감소로 출혈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대상자는 혈중 헤모글로빈 저하(7.5g/dL),...2025.11.17
-
보건의료팀 협력과 리더십 발휘 사례2025.11.171. 보건의료팀 내 업무협력 입원 환자의 신체 보호대 착용 과정에서 간호사들 간의 협력 사례를 다룬다. 초기에 3명의 간호사가 환자 한 명을 담당했으나 환자의 저항이 심해지자 병동의 모든 간호사와 책임간호사가 함께 참여하여 업무를 수행했다. 이는 팀 전체가 하나의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다학제적 팀워크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2. 간호 리더십과 위기 대응 책임간호사의 리더십 발휘 사례로, 환자의 저산소증 상황에서 신속한 상황 판단과 명확한 지시를 통해 팀을 이끌었다. 개별 간호사에게 구체적인 역할을 지정하고, 약 20분 이상의 흡인 과...2025.11.17
-
뇌염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2025.11.171. 뇌염의 정의 및 분류 뇌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뇌실질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원인에 따라 감염성, 혈관염성, 종양성, 화학성, 특발성으로 분류되며, 시간적 경과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나뉩니다. 일차성 뇌염은 뇌와 척수가 직접 감염되는 경우이고, 이차성 뇌염은 다른 부위의 일차 감염이 뇌로 퍼지면서 발생합니다. 뇌수막염과는 다른 질환이며, 둘이 함께 있는 경우를 수막뇌염이라 합니다. 2. 뇌염의 증상 및 진단 뇌염의 주요 증상은 두통, 발열, 오한, 구토, 의식 저하, 혼미, 경련 발작, 목의 뻣...2025.11.17
-
만성 신부전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2025.11.171. 만성 신부전의 정의 및 병태생리 만성 신부전은 신장이 축적된 혈중 대사물질을 제거하지 못하여 수분, 전해질, 산-염기 변화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신장의 손상이 나타나거나 3개월 이상 사구체 여과율이 60ml/분당 이하로 감소된 경우를 말합니다. 신장단위가 파괴되어 기능이 소실되므로 사구체 여과율과 청소율이 감소하고 혈액 내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이 상승합니다. 만성신부전은 5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별로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진행됩니다. 2. 만성 신부전의 원인 및 임상증상 만성신부전의 발병 원인은 당뇨병(50.2%), 고혈압(20...2025.11.17
-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11.151.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급성호흡부전은 폐포 내의 가스와 폐모세혈관의 혈액 사이에 생긴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 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입니다. 저산소성 호흡부전은 폐 조직의 이상(폐렴, 폐부종, 폐색전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고탄산성 호흡부전은 호흡 근육의 약화나 기도 폐색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신속한 산소 공급이 필요하며, 산소요법과 기계적 환기를 통해 치료합니다. 2. 호흡기 간호중재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간호에는 산소요법(고유량산소요법, 기계적 환기), 기도 흡인, 약물 투여(...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