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복합운송증권2025.01.201. 복합운송증권의 의의 복합운송증권(Multimodal Transport Document: MTD)은 이종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복합운송인과 화주가 복합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그 계약의 증거서류로서 발행되는 운송서류를 말한다. 이러한 복합운송증권은 전 운송구간에 걸쳐 적용되는 것이며, 선하증권과 마찬가지로 복합운송 계약의 증거서류일 뿐만 아니라, 화물에 대한 권리 증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2. 복합운송증권의 유형 복합운송증권은 그 발행주체에 따라 실제운송인이 발행한 복합운송증권과 운송주선인이 발행한...2025.01.20
-
해상운송계약2025.01.211. 개품운송계약 개품운송계약은 주로 정기선의 경우에 이용되는 계약형태로 선박회사가 다수의 화주와 화물에 대한 운송계약을 개별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세계 주요 항로에는 다양한 국적의 정기선사들이 취항을 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우리 주위의 대부분의 무역화물은 개품운송계약의 형태로 운송되고 있다. 개품운송계약은 송화인(shipper) 또는 그 대리인이 운송인인 선박회사나 그 대리점에 선복의 사용을 신청하면, 운송인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운송계약이 성립된다. 2. 용선운송계약 용선운송계약은 송화인이 선박회사로부터 선복의 전부 또는 일...2025.01.21
-
대한항공의 기업 혁신 사례 분석2025.01.241. 대한항공의 기업 혁신 사례 대한항공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여객 수요 감소에 대응하여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혁신적인 전략을 펼쳤다. 이를 통해 화물 수요를 선점하고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하였다. 대한항공의 이러한 혁신은 시장선도자 전략과 2P2S 혁신 전략을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점진적 혁신을 통해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 대한항공의 혁신 전략 대한항공은 시장선도자 전략과 2P2S 혁신 전략을 결합하여 혁신을 이루어냈다. 전략적 혁신 측면에서는 품질선도자 전략과 시장...2025.01.24
-
무역계약의 결제조건과 보험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41. 보험조건 무역거래에서 운송과정상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커버하기 위해 보험에 부보하게 되는데, 이때 부보주체, 보험금액과 표시통화, 담보조건 등의 보험조건을 약정해야 한다. 부보주체는 통상 수출자 또는 수입자 중 한 쪽이 되며, 보험금액은 계약대금의 110%로 하고 표시통화는 계약통화로 하는 것이 관례이다. 담보조건은 ICC 약관에 따라 달리 정해지는데, CIF와 CIP 조건에서는 최소담보조건인 ICC(FPA) 또는 ICC(C)로 부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 대금결제조건 무역거래에서 수출자의 물품제공과 수입자의 대금지급은 ...2025.01.24
-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 발행과 배서, 선하증권 수리요건2025.01.291.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은 운송서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로서, 송하인과 수화인이 물품의 인도. 인수를 위하여 물품운송의 임무를 맡은 선박회사가 송하인의 청구에 의하여 발행하는 운송서류를 말한다.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물품을 수령한 것을 확인한 후, 양륙항에서 그 선하증권의 소지인에게 선하증권과 교환하여 물품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수령증이며, 선박회사와 화주간의 운송계약서이다. 2.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 선하증권은 증권면에 기재된 물품의 소유권을 표창하고 있어, 선하증권을 유상으로 취득...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