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부정기선 운송2025.01.201. 해상 부정기선 운송의 의의 해상 부정기선운송은 정기선운송과는 달리 운항일자나 항로가 일정하지 않고, 화물의 수요에 따라 화주가 요구하는 시기와 항로에 해운서비스나 선복(Ship's Space)을 제공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부정기선운송의 대상화물은 광석, 곡물류, 목재, 비료 등과 같이 비교적 운송량이 많고, 운임부담능력이 적은 산화물(Bulky Cargo)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2. 해상 부정기선운송의 특성 1) 항로선택의 자유성: 부정기선운송은 정기선운송과 같이 정해진 항로를 운항하는 것이 아니라, 화주의 요구와 ...2025.01.20
-
해상운송인의 운송책임2025.01.201. 해상운송인의 개요 해상운송인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목적항까지 운송하고, 그 대가로 해상운임을 획득하는 업자이다. 이들은 대부분의 수출입 화물과 원자재를 대량으로 운송함으로써 세계 무역의 발전과 효율적인 자원배분에 기여하고 있다. 정기선 운송업자들은 고품질의 해운서비스를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화주들의 계획적인 활동을 지원한다. 2. 해상운송인의 운송책임 대부분의 해상운송 계약은 운송업자와 화주 간의 부합계약 형태로 이루어지며, 운송업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운송약관을 설정하여 책임범위를 경감하려 노력해왔다....2025.01.20
-
북극항로 상용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부산항의 준비 방안2025.01.241. 항만 시설 확충 북극항로 운송량 증가에 대비하여 대형 크레인, 넓은 안벽과 장치장 등 하역 설비를 확충해야 한다. 또한 북극 기후에 대응할 수 있는 냉동·냉장 창고, 보온 창고 등의 특수 목적 창고 시설과 보안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 2. 선박 지원 시설 구축 북극 해역 운항에 적합한 내빙 선박의 건조와 정비를 위한 조선소, 장기 원양 항해를 위한 선용품 보급 체계, 대형 선박의 연료 보급을 위한 급유 시설 등의 선박 지원 인프라가 필요하다. 3. 물류 네트워크 확충 부산항에서 처리된 화물을 국내외로 운송하는 도로, 철도, ...2025.01.24
-
인코텀즈(INCOTERMS)의 개념과 주요 조건 분석2025.05.141. 인코텀즈(INCOTERMS) 인코텀즈(INCOTERMS)는 국제상업회의소(ICC)가 주관하여 작성한 국제규칙으로, 국제 무역거래에서 상품의 인도와 관련된 조건을 원칙적으로 해석하는 규칙입니다. 이는 무역 거래 시 발생하는 상품의 이동, 비용, 위험 분담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양 측 간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무역을 돕는 목적을 지닙니다. 2. INCOTERMS 2010 개정 INCOTERMS는 무역 환경의 변화에 따라 꾸준히 개정되어 왔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최신 버전은 INCOTERMS 2020으로, 이 버전은 2011...2025.05.14
-
해상보험에서의 보험가액 불변경주의에 대하여 논하시오2025.05.141. 해상보험 해상보험은 손해액의 산정기초가 되는 보험가액을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와 곳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이에 따라 보험가액 불변경주의의 원칙을 따르게 된다. 특히 운송보험계약은 육상운송의 목적인 운송물에 관해 그 운송에 대한 사고로 인해 생길 손해의 보상을 목적으로 하는 손해보험으로, 보험자는 다른 약정이 없으면 운송인이 운송물을 수령한 때로부터 수하인에게 인도될 때까지 생긴 손해를 보상할 책임이 있다. 2. 보험가액 불변경주의 해상보험에서는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와 곳을 기준으로 보험가액...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