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6개
-
생활과 윤리 수능연계교재 선지 OX 문제 및 정답(플라톤)2025.01.201. 죽음과 윤리 플라톤은 죽음을 불멸하는 영혼이 육체의 속박을 벗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죽음에 대한 희망에 차 있는 사람들이 철학으로 일생을 보낸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죽음을 통해 영혼이 완전한 지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고 보았다. 플라톤은 죽기 전까지의 꾸준한 수련이 죽음 후 영혼이 그 목적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고 믿었다. 2. 직업과 청렴의 윤리 플라톤은 각자의 역할에 충실할 때 이상 국가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그는 직업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상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사...2025.01.20
-
플라톤 『향연』의 에로스에 대한 불교적 해석2025.11.111. 에로스의 절대성 플라톤의 『향연』에서 에로스는 절대성과 완벽함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제시된다. 여러 연사들은 자신만의 기준으로 에로스를 찬양하며, 에로스는 부모가 없는 가장 오래된 신으로 표현된다. 소크라테스는 디오티마와의 대화를 통해 에로스를 아름다움과 추함, 지혜와 무지 사이에 존재하는 '신령'으로 정의하며, 가사자와 불사자를 잇는 중개자 역할을 한다. 에로스의 사다리는 아름다운 몸에서 시작하여 궁극적으로 아름다움의 본성 자체에 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2. 멜치아 엘리아데의 성현(聖顯) 개념 엘리아데는 『聖과俗』에서 성현...2025.11.11
-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상과 현실2025.11.121. 플라톤의 이상주의 플라톤은 '보이지 않는 것'에 중점을 두며 현실과 이상을 구분했습니다. 동굴의 비유를 통해 인간이 보는 그림자가 현실이고, 동굴 밖의 빛이 이데아(이상)라고 설명했습니다. 플라톤은 진정한 현실을 경험하려면 동굴을 벗어나 이상을 추구해야 하며, 인간의 지식은 현실에서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속에서 기억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물질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이상을 추구하는 것이 플라톤의 이상주의적 사고입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주의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구체적인 현실에서 출발하는 것이 중...2025.11.12
-
메논 감상문 - 교육철학과 교육사2025.11.121. 메논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은 교육철학의 고전적 저작으로, 덕(아레테)의 본질과 그것이 가르쳐질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다룬다. 소크라테스와 메논의 대화를 통해 지식의 본질, 학습의 과정, 그리고 교육의 목적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제시한다. 2. 교육철학 교육철학은 교육의 목적, 방법, 내용에 관한 철학적 탐구 분야이다. 메논을 통해 드러나는 교육철학의 핵심은 덕의 교육 가능성, 지식의 회상설, 그리고 참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다. 3. 적기 적기는 교육에서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맞는 최적의 시기를...2025.11.12
-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대화 - 플라톤의 '파이돈'2025.01.241. 영혼 불멸 소크라테스는 죽음이 영혼이 육체로부터 해방되는 일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는 육체와 결부된 감각지각 때문에 인간은 참된 지혜와 진리를 추구할 수 없으며, 영혼이 육체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만 순수한 사고와 추론에 의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에 대해 심미아스와 케베스는 영혼불멸에 대한 논증과 해명을 지적하며 반론을 제기합니다. 2. 사후 세계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사는 지구는 원형인 지구의 우묵한 부분이며, 하늘을 넘어 올라가야 참된 지구의 위에 설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참된 지구는 올바른 삶을...2025.01.24
-
철학의 이해 -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등의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플라톤은 인간을 '합리적 영혼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하며, 이성의 지배하에 있는 인간이 진정한 '인간다운 인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고, 칸트는 인간의 이성이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한편 홉스는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이고 싸우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으며, 흄은 도...2025.01.24
-
고대 그리스 철학을 중심으로 보는 현대 사회에서의 좋은 삶의 구체화2025.01.241. 플라톤의 좋은 삶 플라톤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요소인 '부'와 '성적 욕망'을 잘 다스릴 수 있다면 좋은 삶을 살 수 있다고 전제한다. 그는 인간 영혼의 세 부분인 욕망, 기개, 이성 중에서 가장 강력한 부분이 '욕망'이며 가장 약한 부분이 '이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성이 욕망을 지배하고 통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이 필요하며, 이성이 욕망을 지배한 상태가 바로 '절제'이다. 플라톤은 절제를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좋은 삶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삶을 세 종류...2025.01.24
-
플라톤의 국가론과 현대 민주주의에 대한 함의2025.01.241. 플라톤의 국가론 플라톤은 『국가』에서 정의로운 국가와 개인의 관계를 논의했다. 그는 국가가 용기, 지혜, 절제의 덕을 갖추어야 하며,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민주주의에 대해 비판적이었는데, 그 이유는 민주주의가 개인의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정의와 질서가 무너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2. 현대 민주주의의 문제점 플라톤이 지적한 바와 같이,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정의보다는 자유가 중시되며, 전문성 없이 대중의 선동에 의해 정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국가 발전...2025.01.24
-
플라톤 『국가』에 나타난 정의의 개념2025.01.241. 정의의 개념 플라톤의 『국가』에서 소크라테스는 정의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정의를 개인의 덕성과 국가의 조화로운 질서로 설명하며, 이를 통해 정의가 단순히 강자의 이익이 아닌 도덕적 가치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주장은 당시 그리스 사회에 만연했던 소피스트들의 자기중심적 정의관에 대한 비판이자,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정의의 개념을 제시한다. 2. 국가의 구조와 정의 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국가의 통치 구조를 설명하면서, 지혜로운 통치자, 용감한 군인, 그리고 근면한 생산자의 조화로운 역할 수행이 ...2025.01.24
-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세 종류의 사람과 영혼의 조화2025.01.241.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대표 저서 『국가』에서는 소크라테스가 화자로 등장하여 정의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책에서 소크라테스는 세 종류의 사람(지혜를 사랑하는 사람, 명예를 사랑하는 사람, 돈을 사랑하는 사람)을 설명하며, 이들은 각자의 영혼(지혜, 명예, 돈)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절제 있는 사람은 이 세 부분이 조화를 이룬다고 이야기한다. 2. 영혼의 조화 플라톤은 정의를 정의(定義)할 때 자기 안에 있는 각각의 영혼이 서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이는 ...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