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2개
-
조직의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단계2025.01.281. 훈련 필요성 분석 조직, 직무, 개인 차원에서 훈련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로, 조직의 목표와 전략, 직무에 필요한 지식/기술/태도, 개별 직원의 부족한 부분 등을 분석한다. 2. 훈련 목표 설정 훈련이 끝났을 때 참가자들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성과를 정의하는 단계로, 이를 통해 훈련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다. 3. 훈련 방법 설계 훈련 목표에 맞는 효과적인 훈련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로, 강의식 교육, OJT, 실습 및 워크숍, 전자 학습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4. 훈련 프로...2025.01.28
-
직무현장훈련(OJT)과 집합교육훈련(Off-JT)의 차이점과 최근 기업들의 실시 경향2025.05.111. 직무현장교육(OJT) 직무현장교육을 의미하는 OJT는 On-the-Job Training을 뜻하며, 직무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실시되는 교육을 의미한다. 새로 채용된 직원이나 부서가 이전된 직원이 새로운 직무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등을 교육하는 것이다. 대부분 같은 부서 내의 상급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개인적인 차원에서 실시된다. 2. 집합교육훈련(Off-JT) 집합교육훈련은 Off-JT라고도 부르며, Off-the-Job Training을 의미한다. 직무현장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직원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