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수술실 절차 보고서 - 갑상샘 절제술 throidectomy2025.04.281. 갑상샘 절제술 갑상샘 절제술은 갑상샘이 비대되어 압박을 하는 경우 기도나 식도폐색을 완화하고, 항진된 갑상샘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변화된 외모를 교정하는데 있다. 시행하기 전에 항갑상샘제를 투여하여 갑상샘기능을 정상화해야 한다. 수술 시에는 갑상샘 혈관분포, 갑상샘과 인접한 부갑상샘, 되돌이후두신경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갑상선 종양 갑상선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커져서 결정이 형성된 것으로, 진단명이 아니라 여러 갑상선 질환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3. 수술 절차 수술 절차에는 수술실 준비, ...2025.04.28
-
수술실 기구 조사 정리2025.04.301. Incision & Cutting 수술 시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제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기구로는 knife, knife handle, electric cautery, scissors 등이 있으며, 각 기구의 특징과 용도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Forcep & Clamps 수술 시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forcep과 clamp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기구로는 sponge forcep, adson forcep, smooth forcep, towel clamp, mosqu...2025.04.30
-
지역사회 학교보건 - 외상 응급처치 레포트2025.01.101. 찰과상 찰과상은 넘어지거나 긁히는 등 마찰에 의해 피부나 점막 표면의 세포층 손실이 발생한 상처입니다. 출혈과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감염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응급처치로는 소량의 출혈 시 상처를 비눗물로 씻고 생리식염수로 세척하며, 이물질이 있을 경우 제거하고 지혈한 후 감염방지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절상 절상은 칼이나 종이, 유리파편 등 예리한 날에 의해 생기는 상처입니다. 출혈이 특징적인 증상이며, 응급처치로는 소독 후 일회용 반창고를 붙이고 상처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합니다. 상처가 깊고 출혈이 심하거나 흉터 가능성이...2025.01.10
-
응급재난간호보고서2025.05.161. 응급간호사의 자격 우리나라의 응급전문간호사는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석사학위과정을 이수하고,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시행하는 자격시험을 거쳐 의료법 제 56조에 의해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인정을 받은 자이다. 2. 응급간호의 원칙 의식이 없고 호흡이 부적절하거나 없으며, 맥박이 촉지 되지 않는 경우 기본심폐소생술을 즉시 시행한다. 기도를 개방하고 적절한 환기를 제공하며 필요시 기도폐쇄나 호흡장애를 초래하는 경추와 흉부의 부상 정도를 사정한다. 심박출량을 평가하고 출혈조절, 쇼크예방 및 치료, 순환혈액량 유지를 통하여 심박출량을 유지한...2025.05.16
-
혈액응고와 섬유소용해2025.04.261. 혈액의 구조와 기능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며, 주요 기능으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혈액응고,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 발휘 등이 있다. 혈장은 주로 물, 단백질, 항체, 효소, 영양분, 응고인자 등으로 구성되며, 혈구에는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가 포함된다. 2. 지혈과 혈액응고 지혈은 혈관, 혈소판, 응고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손상된 혈관을 복구하여 출혈을 중지시키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는 혈관 수축, 혈소판 반응, 내적 및 외적 응고 경로 활성화, 섬유소용해 등이 포함된다. 3. 항응고제 사용 지속적 신대체요법(C...2025.04.26
-
수술실 봉합사와 봉합침2025.05.061. 봉합사 봉합사는 혈관을 결찰하여 지혈효과를 가져오거나 손상 받은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봉합사의 종류에는 흡수성/비흡수성, 단선사/복선사, 천연사/합성사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사용 부위가 다르다. 좋은 봉합사는 신장 강도가 높고 굵기가 균일하며 기대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조직반응이 적으며 다루기 쉽고 매듭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2. 봉합침 봉합침의 종류에는 바늘 끝의 모양에 따라 round needle, cutting needle, reverse cutting, P needle, t...2025.05.06
-
산후출혈 간호2025.05.131. 전기 산후출혈 전기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태반 근육들이 수축하여 태반으로 혈액을 운반하던 관들을 막는 것이 정상적인 지혈 기전이므로, 즉각적이면서 지속적인 자궁수축이 없으면 혈액손실을 야기한다. 2. 자궁이완 (Uterine Atony)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가 단단하게 수축되어 있어야 하는데, 자궁퇴축부전과 지연이 나타나면 수분 내에 갑자기 다량의 출혈이 초래된다. 유발요인으로는 거대아, 다태임신, 양수과다 등으로 인한 과다 팽...2025.05.13
-
성인간호학 출혈위험성 간호진단2025.01.141.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환자 김씨(남/55)는 10년전 교통사고로 수혈을 받고 C형감염에 감염되어 인터페론 치료를 받았으나 중단하였다. 이후 권태감, 식욕부진, 복부팽만감을 호소하여 입원하였고, 간생검 시행 후 출혈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체위 변경, 출혈 징후 교육, 혈액검사 확인, 통증 사정, 드레싱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여 출혈 예방 및 관리를 하였다. 1.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2025.01.14
-
A+ 수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간호과정/간호진단2025.01.221. 수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수술 후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의 간호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간호평가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출혈 위험 요인 파악, 출혈 증상 및 징후 사정, 혈액검사 모니터링, 지혈제 투약, 상처 관리, 안전한 환경 조성, 환자 교육 등이 있습니다. 1. 수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수술 중 출혈 위험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수술 전 환자의 건강 상태와 출혈 위험 요인을 면밀히 평가하고,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합...2025.01.22
-
혈액형 판정과 혈구세포관찰2025.01.221. 혈액의 구성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이루어진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백혈구는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혈소판은 지혈 작용을 한다. 혈장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2. ABO 혈액형 ABO 혈액형은 혈구에 A 또는 B 항원이 있고, 혈청에 항 A, 항 B 응집소가 있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A형, B형, AB형, O형으로 나뉜다. 이를 이용하여 혈액형을 판별할 수 있다. 3. Rh 혈액형 Rh 혈액형은 Rh+ 또는 Rh-로 구분된다. Rh+는 항원이 있고, Rh-는...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