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4개
-
심부전 간호과정(폐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심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이뇨제 복용 및 섭취 부족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2025.01.271. 폐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폐부종이 동반된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저산소증으로 인한 빈호흡, 빈맥이 나타날 수 있다. 정상 산소포화도는 95~100%이며 심부전 환자의 폐포 내 체액 축적으로 인한 저산소증 정도를 파악하는 객관적 지표가 된다. 좌위 또는 반좌위는 횡경막을 하강시켜 흉곽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산소요법은 저산소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적용된다. 폐부종으로 인한 저산소증으로 비정상적 호흡음, 비익확장, 호흡시 보조근 사용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호흡곤란으로 인한 산-염기 ...2025.01.27
-
약 정리 - 이뇨제, 혈압약, 고지혈증약, 심장약 등등 (간호학생, 신규간호사 추천)2025.01.231. 이뇨제 (Diuretics) 신장에서 소변(물, 전해질, 노폐물 포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 심장기능상실(심부전, hert failure, HF), 내분비장애(endocrine disturbance), 신장질환 및 간질환 : 체액과부하 혹은 부종(edema, 과다한 체액정체)을 유발. 고혈압 : 항고혈압약물, 이뇨제 병용 →고리이뇨제, thiazide계 이뇨제. 유해반응 : 전해질 및 수분장애, hypokalemia, hypotension, 피부발진, 간, 콩팥 장애, 고용량 장기 사용 시 이독성. 2. 고지질혈증약물 고...2025.01.23
-
수분과 전해질 관련 약물 투여 시2025.01.241. 체액의 분포 체액의 1/3은 세포 외액이며, 이 중 1/5은 혈장, 4/5는 간질액이다. 체액의 2/3은 세포 내액이며 거의 변동이 없다. 체액 전해질에는 Na, Cl, K, P, Mg, HCO3가 포함되며, 세포 외액에는 K>P>Mg, 세포 내액에는 Na>Cl>HCO3가 존재한다. 비전해질에는 포도당, 요소, 크레아티닌이 포함된다. 2. 삼투압에 의한 이동 삼투압은 세포 내액과 세포 외액 간 용질 농도 차이에 따라 형성된다. 혈장 삼투질 농도(Posm)는 2 x 혈장 [Na+] + [Glucose]/18 + [BUN]/2.8...2025.01.24
-
두개내압상승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2025.01.241. 두개내압상승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증상 및 간호 중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관적 자료로는 보호자의 진술이 있었고, 객관적 자료로는 의식 수준 저하, GCS 점수, 활력징후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간호진단으로는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조직 관류 장애'와 '뇌 기능 저하와 관련된 급성 혼동'이 도출되었습니다. 간호 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GCS 모니터링, 이뇨제 투여, 자세 관리 등이 이루어졌습니다. 1. 두개내압상승 두개내압상승은 뇌 내부의 압력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 증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뇌 손상, 뇌종양, 수...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