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4개
-
A+ 성인간호학실습 간호전문직 표준 사례 3가지 및 본인 견해2025.01.151. 간호 전문직 표준에 대한 이해 간호사는 대학의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전문적 간호에 관한 지식과 간호실무 능력을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면허를 취득한 자로, 인류사회의 복지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이다.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지식체를 개발하고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가 요구되는 인지적 활동을 수행하며, 간호실무를 보증하는 개인의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간호교육이 4년제 고등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간호사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활동을 하며 윤리강령에 따라 행동한다. 2. 질 높은 간호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2025.01.15
-
심폐소생술2025.01.161.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정지 혹은 호흡정지가 초래된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행해지는 소생술로서 뇌손상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 준비물품 Emergency cart, EKG Monitor, Defibrillator, 산소공급기구, 흡인기(Emergency cart내: Ambu bag, Fitting mask, Endotracheal tube(성인의 경우 ID 7.5-8Fr), Laryngoscope, Stylet, Air way, 반창고, 멸균장갑, 1L 생리식염수, O2 line, El...2025.01.16
-
응급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심폐소생술 6단계 및 영유아 안전2025.01.221. 응급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예기치 않은 사고나 질병으로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 현장에서 병원에 도착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이 시간 동안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병원에 가기 전에 환자가 발생할 경우 최초목격자에 의해서 응급의료체계에 신고를 하고, 응급구조사가 사고현장으로부터 병원까지 이동할 때 환자의 평가 및 적절한 처치와 병원에서 의료인의 전문적인 처치 등의 단계가 연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만 환자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더불어 귀중한 생명을 살...2025.01.22
-
CPR case study2025.01.221. 응급간호 (emergency care) 돌발적이고 예기치 못한 긴급 상황에 처한 대상자에게 생명을 구하고 유지하며, 질병이나 손상의 악화 방지를 막고 통증 경감을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인 문제를 즉시 사정하고 진단, 치료를 제공하는 인명 구조술 2. 응급환자 분류 1)긴급 환자(red) : 위기 혹은 생명 위험 -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생존 가능 - 기도폐쇄, 심장마비, 심한 쇼크, 의식 불명 등 2)응급환자(yellow) : 중함 - 초기 응급치료를 받은 후 후송을 기다릴 수 있는 대상자 - 고열, 경증의 화상, 열상, 뇌졸...2025.01.22
-
QI활동_심폐소생술 및 기관삽관 교안 (간호부교육용)2025.01.22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CPR)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CPR 흐름도에 따라 반응확인, 맥박 및 호흡 확인, 도움요청, 흉부압박, 기도유지, 제세동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흉부압박과 기도유지는 CPR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정확한 자세와 속도로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응급약물 사용과 E-kit 물품 사용법도 숙지해야 합니다. 2. 기관삽관(Intubation) 기관삽관은 기도 개방성 유지를 위해 시행하는 처치로, 의사가 직접 시행하지만 간호사의 보조가 매우 중요합니다. 기관삽관...2025.01.22
-
중고등학교 학생보건 및 건강증진 계획서2025.01.171. 보건실 운영 보건실 설치 및 기준 마련으로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보호 · 증진,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감염병 예방 활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한 쾌적한 보건실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보건실 이용 학생에 대한 보건일지 작성, 월별 보건실 이용 학생 현황 자료 활용, 보건실 이용 학생 기록 관리, 보건실 이용에 대한 안내 등의 세부 추진사항이 포함됩니다. 2. 요보호 학생 관리 건강상 문제를 가진 학생을 사전에 파악하고, 요보호 학생이 학교생활을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적인 관리로 응급상황 발생을 예방하고 ...2025.01.17
-
완벽정리!) E-cart 약물, 기구 정리2025.01.191. E-cart E-cart는 Emergency cart를 말하며, 응급시의 검사, 치료에 사용하는 기구나 약품을 담아두는 카트이다. 환자가 입원하는 각 부서에는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E-cart가 비치되어 있으며, E-cart로 모든 응급대처가 가능하다. E-cart의 형태는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 대개 가장 상단에는 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고, 아래는 여러 칸의 서랍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랍 안에는 제세동기 뿐 아니라 응급 약물, 산소화 장치, 기관삽관 준비물, 구조호흡 관련 물품, 검체용기, 플라스터, 토니켓 등 응급상황에 필...2025.01.19
-
응급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심폐소생술 6단계 응급처치방법과 영유아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2025.01.291. 응급처치의 목적과 필요성 응급처치는 위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의료적 조치로,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상태를 안정화하며, 전문적인 의료 지원을 받을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응급처치는 위급한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중점을 두며,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하여 더 이상의 악화를 방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응급처치는 상황을 평가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과정이다. 응급처치의 필요성은 현대 사회의 각종 사고와 급성 질환 증가로 인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2. 심폐...2025.01.29
-
심정지 후 소생 케이스스터디2025.05.071. 심정지의 정의 심정지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여 발생하며 모든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고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최근 들어 급성심질환 및 순환계질환이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차지하게 되었으며 사망원인 통계결과 암에 이어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이 2,3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심정지는 심질환과 순환계질환의 심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고,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의 심한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인이라면 심정지에 대한 대처방안은 필수적으...2025.05.07
-
응급실 체크리스트2025.05.071. ICP monitor ICP monitor는 두개골 내에 있는 뇌와 뇌혈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기록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두개내압 상승을 조기에 확인하고, 비정상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두개내압 상승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뇌척수액 채취 및 배액, 치료 효과 평가에 도움이 됩니다. 2. Intubation set 기관 삽관은 전신 마취 시, 폐질환 치료, 저산소증, 저환기 등의 상황에서 필요하며, 기관 속에 튜브를 삽입하여 기도를 개방하고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관이 너무 크면 기도와 점막 내충을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