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1개
-
[분석화학실험] 침전법을 이용한 납의 무게 분석 결과 결과보고서 A+2025.01.201. 침전법을 이용한 납의 무게 분석 이번 실험에서는 시료에 포함된 납을 크롬산납(PbCrO4)으로 침전시켜서 무게를 측정하고, 시료 중의 납의 함량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침전을 형성할 때 불균일(heterogeneous) 방법과 균일한(homogeneous) 용액으로부터 침전이 형성되는 두 방법을 비교해보았다. 불균일 침전 방법은 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서 반응속도는 빠르지만 입자의 크기가 불규칙하고 밀도가 작기 때문에 납이 작은 결정으로 침전된다. 균일 침전 방법은 반응속도는 느리지만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며, 불순물이 적고 밀도...2025.01.20
-
[분석화학실험]물의 경도. EDTA 착화물 형성 결과 결과보고서 A+2025.01.201. 물의 경도 이번 실험에서는 EDTA 표준용액을 적정용액으로 하여 Calcium 표준용액을 적정하여 EDTA를 표준화하고 이의 농도를 구하였다. 또한, 표준화된 EDTA를 이용하여 실험실의 수돗물 경도를 ppm 단위로 측정해보았으며, EDTA 착물 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경도는 물에 녹아 있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양을 수치화한 값으로, 물의 세기를 나타낸다. 경도는 크게 연수와 경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실험실의 수돗물은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판정' 수돗물이며, 연수에 해당한다. 2. EDTA 착화물 형성 EDTA는...2025.01.20
-
[분석화학실험] 지시약상수(KG) 결정- BCG 결과 결과보고서 A+2025.01.201. 분석화학 실험 이번 실험에서는 bromocresol green을 이용하여 완충용액들을 만들고, 그 용액들의 pH를 측정하고 계산해보았다. 또한, 흡광분광법과 pH 값을 이용하여 지시약 상수 KG 값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pH 전이 간격을 결정하고, 지시약이 어떻게 pH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이해해보았다. 2. 지시약 상수 KG 계산 지시약 상수 KG 를 계산할 때, αH+의 측정값과 계산값을 이용하여 각각 계산하였는데, 먼저 측정값은 실험에서 직접 측정한 pH를 이용하여 나온 값이지만 계산값은 davies의 식...2025.01.20
-
분석화학실험 4. Determination of acidity in vinegar & Ka value of weak acid2025.01.181. 약산의 이온화 정도와 Ka 값 시판 식초(vinegar)는 유기산 및 약 6~7 W/V%의 acetic acid(HOAc)를 함유한다. 약산은 용액 내에서 100% 이온화하지 않는 산을 말하며, 약산의 이온화 정도는 이온화 상수인 Ka 값을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대표적 약산인 HOAc의 Ka를 Gran's plot을 활용하여 구한다. 2. 식초의 산도 측정 식초 중의 총 산성 성분을 염기 표준용액(0.1 M NaOH)으로 적정하여 % 농도를 구하여 acetic acid의 % 농도로 표기한다. 3. 0.1 M ...2025.01.18
-
이온 선택성 전극을 이용한 pH 측정2025.01.181. 이온 선택성 전극 이온 선택성 전극은 분석하고자 하는 특정 이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전위차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이온 선택성 막의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한 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분석 이온과 친화성이 높은 리간드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전하 불균형으로 인한 전위차가 발생합니다. 이 전위차는 외부 용액의 분석 물질 활동도에만 의존하므로 이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유리 전극 유리 전극은 pH 측정에 사용되는 이온 선택성 전극입니다. 유리막 내부의 수화된 젤 층에 H+ 이온이 상당히 많이 결합되어 있어 H+에 선...2025.01.18
-
분석화학실험 보고서 - EDTA 적정을 이용한 식수의 Ca2+, Mg2+농도 결정2025.01.181. EDTA 적정법 EDTA는 대부분의 금속 이온과 1:1로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는 킬레이트제이다. EDTA 적정법은 금속 이온과 EDTA의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이 실험에서는 EDTA 적정법을 이용하여 식수 중 Ca2+와 Mg2+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2. 금속 이온 지시약 EDTA 적정법에서 종말점 검출을 위해 금속 이온 지시약이 사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EBT(Eriochrome Black T)가 사용되었는데, EBT는 금속 이온과 결합하면 붉은색을 띠고 EDTA가 첨가되면 푸른색으로 변화...2025.01.18
-
물의 경도 EDTA 착화물 형성2025.01.171. 물의 경도 측정 이번 실험은 EDTA를 이용하여 물의 경도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경도를 측정하면 단물과 센물을 구분할 수 있는데 센물은 관속에서 물이 증발할 때 물때라고 하는 고체 퇴적물을 남긴다. 알칼리 토금속 이온은 토양 속의 콜로이드 입자를 응집시키는 경향이 있어 물에 대한 토양의 투과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농업 용수로 적합하다. 단물은 콘크리트, 석고, 회반죽을 부식시키기 때문에 단물과 센물을 구분해서 각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경도 측정은 생활에서 중요하다. 2. EDTA 착화물 형성 실험에서는 ED...2025.01.17
-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8. Kastle-Meyer test2025.01.181. Kastle-Meyer test Kastle-Meyer test는 법의학적으로 혈흔을 추정하는 검사이다. 혈흔을 면봉에 묻히기 전에 에탄올을 적셔주는 것은 혈흔을 더 잘 용해하므로 감도와 특이성을 높여 산화-환원 반응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루미놀 반응과 같이 화학 발광(chemiluminescence)을 이용하거나 형광(fluorescence) 현상을 일으켜 확인할 수도 있다. 2. 혈흔 감식 혈흔과 KM reagent의 반응이 가장 빨랐던 이유는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는 과산화효소 활성을 지닌 효소류나 일부 금속이...2025.01.18
-
반트호프 방정식을 이용한 옥살산 용해열 측정2025.01.021. 용해도 용해도는 특정한 온도에서 주어진 양의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이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용해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증가하면 용해도도 함께 증가한다. 이러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2. 용해열 용해열은 물질 1mol을 용매에 녹일 때, 출입하는 열을 말한다. 용해에는 항상 열의 출입이 따르기 때문에, 방출 혹은 흡수되는 열을 반응열이라고 하고, 양의 값을 가지면 흡열 반응, 음의 값을 가지면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3.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미지의 농도를 가진 산에 농도를...2025.01.02
-
정성 분석을 통한 미지 시료 확인2025.01.021. 정성 분석 이번 실험에서는 분석 화학에서 사용되는 분석 방법 중 시료에 들어있는 화학 종의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인 정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지의 용액을 섞어 침전 반응 및 산-염기 반응에 의해 용액 변색 현상을 관찰하여 각 시료에 포함된 양이온, 음이온의 종류를 알아내었다. 2. 용액 제조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13가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액체 시료인 황산과 염산의 경우 농도를 고려하여 계산식을 사용하여 필요한 양을 계산하였다. 용액 제조 시 서로 다른 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3. 침전 반응 용액을 섞었을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