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8개
-
금오공대 일반물리학실험2 금속 전기저항 실험2025.01.291. 금속의 전기저항 실험을 통해 서로 다른 금속들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 및 면적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R = ρL/A 공식이 실제로도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결과의 오차율을 확인한 결과, 피아노 줄의 경우 오차율이 1.49%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졌지만, 구리와 알루미늄은 20% 정도의 큰 오차가 발생했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50% 이상의 오차가 발생했는데, 이는 실험 교재에 제시된 금속 비저항 값이 잘못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1. 금속의 전기저항 금속의 전기저항...2025.01.29
-
에탄올 조성구하기2025.01.271. 에탄올 수용액 제조 실험을 통해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제조하고, 각 용액의 에탄올 조성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목표 농도와 실제 농도 사이에 2-4%의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정량 투입 과정에서의 오차 및 용액 이동 시 손실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또한 에탄올 농도가 높아질수록 용액의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1. 에탄올 수용액 제조 에탄올 수용액 제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탄올은 연료, 용매, 소독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수용액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2025.01.27
-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의 비교2025.01.131. 확률표집 확률표집은 모집단을 구성하는 개별요소가 표본에 포함될 확률이 동일하게 설계되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확률이론에 따라 일정한 기준과 규칙을 가지고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비교적 합리적이고 과학적이며,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확률표집에는 단순무작위표집, 체계적표집, 층화표집, 집락표집 등이 있습니다. 2. 비확률표집 비확률표집은 비체계적이고 상황적인 특징이 있으며, 작위적인 표본추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표본으로 뽑힐 확률을 알 수 없거나 요소들 중 표집될 확률이 0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2025.01.13
-
기체 상수의 결정2025.01.021. 기체 상수 결정 본 실험에서는 MnO2를 촉매로 사용하여 KClO3의 열분해 반응을 진행한 후 발생한 O2 기체의 부피를 계산하여 기체 상수 값을 결정하였습니다. 실험에서는 수상 치환 원리를 사용하여 기체를 포집하였으며, 기체와 액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체가 녹지 않는 액체를 선택하였습니다. 오차율은 35.177%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소의 몰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어 이론값보다 작은 기체 상수 값이 도출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험에서 사용된 기체는 이상기체가 아닌 실제 기체였으며, 삼각플라스크 내 산소 기체의 분압은 대기압...2025.01.02
-
[아주대 물리학실험] 측정과 오차 A+2025.01.201. 측정과 오차 실험 1에서는 자를 이용하여 손으로 잡는 위치를 측정해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 진행시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사람이 자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매 순간 다른 각도로 자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각도가 커질수록 실험자가 잡을 수 있는 확률은 줄어든다. 자를 떨어트릴 때 움직이는 정도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움직임이 클수록 자가 흔들리며 떨어지는 정도가 크다. 이는 자가 떨어트릴 때 생기는 공기저항을 보다 더 크게 만들어 자가 떨어지는 속도를 줄여 사람의 반응거리를 줄일 수 있다.실험 2에서는 투명 자를 자유낙...2025.01.20
-
건국대학교 물및실2 A+ 쿨롱의 법칙 결과 레포트2025.01.211. 쿨롱의 법칙 이번 쿨롱의 법칙 실험에서는 하단 평행판이 받는 힘의 이론값과 다른 측정값을 얻었다. 이론값보다 훨씬 적게 측정이 되었으며, 오차의 주된 원인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진행 중에 평행판에 전압이 잘 걸리지 않았다. 둘째, 두 개의 평행판끼리 평행하지 않거나 어긋났을 수 있다. 셋째, 저울의 수평이 맞지 않아 무게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았다. 넷째, 평행판 사이의 거리와 평행판의 단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오차 요인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험 장비와 측정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2025.01.21
-
Bomb calorimeter A+ 물리화학실험 결과보고서2025.01.281. Bomb calorimeter Bomb calorimeter는 연료나 순수한 유기물의 연소열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정밀한 기구입니다. 단열된 통 속에 물을 채우고 물속 밀폐된 연소실에서 연소시켰을 때 열량을 측정합니다. 열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인 장치이며 봄베에서 발생한 열은 전부 주변 물에 흡수됩니다. 주로 기체가 관여하는 반응에 이용되며 연소에 의한 발열량을 주로 측정합니다. 열량계 제조 시, 내부의 물질 1℃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열량(열용량)을 측정해 놓습니다. 열량계로 열량을 계산할 때 비열 대신 열용량을 이용합니다...2025.01.28
-
분석화학실험 침전법 적정 결과레포트 A+2025.01.291. 분석화학실험 분석화학실험 결과 보고서침전법 적정1. Observation1) 0.1M AgNO3 표준용액 100ml 제조 제조해야 하는 표준용액 AgNO3의 무게는 0.1mol : 169.89g = 0.01mol : x x = 1.6989g을 얻어야 한다. 저울로 측정하였을 때 1.6987g의 AgNO3을 획득하게 되었고 얻어야 하는 질산은과 0.0002g 차이가 났다. 이번 실험은 바로 실험하여 해당되진 않았지만 질산은 표준용액을 보관할 경우 갈색병에 보관하여야 한다. 질산이온이 빛과 반응하면서 실험결과의 오차를 초래할 가...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