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3개
-
[화학과 수석의 A+ 레포트] 뷰렛의 검정 (분석화학실험)2025.01.161. Calibration of Volumetric Glassware 이 실험의 목적은 buret을 교정하고 그를 바탕으로 교정 곡선을 작성해, 앞으로의 분석화학실습에서 buret을 사용하는 실험을 할 때 해당 buret의 교정 곡선을 참고자료로 하여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있다. 교정 곡선의 x축은 buret으로 측정한 물의 부피, y축은 실제 물의 부피에서 buret으로 측정한 물의 부피를 뺀 오차값으로 세웠다. 그 결과, 5mL에서는 +0.02mL, 10mL에서도 +0.02mL, 15mL에서는 +0.01mL, 20mL에서...2025.01.16
-
[화학과 수석의 A+ 레포트] COD 측정 (분석화학실험)2025.01.161. COD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oxidation-reduction titration을 통해 동덕여자대학교 본관 뒤 연못물의 COD를 측정했다. KMnO4를 표준화한 후 과량의 표준 KMnO4를 연못 sample에 가해 유기물과 반응시켰다. 그리고 유기물 산화에 소비된 KMnO4의 양을 back titration을 통해 측정하여 이로부터 sample 내의 유기물이 산화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구했다. 그 결과, 동덕여자대학교 본관 뒤 연못물의 COD 값은 1.10mg/L였으며, 이는 2mg/L 이하에 속하는 값이므로 호소 환경기...2025.01.16
-
[화학과 수석의 A+ 레포트] 비타민 C의 정량 (분석화학실험)2025.01.161. 비타민 C 정량 이번 실험에서는 iodimetry를 통해 유한양행의 '유한 비타민씨 정 1000mg' tablet 한 개에 포함된 vitamin C를 정량했다. 우선 iodate와 iodide를 반응시켜 I3-를 생성한 후 thiosulfate를 I3-를 이용해 표준화했다. 그리고 앞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I3-를 vitamin C와 반응시킨 후, 남은 과량의 I3-를 standard thiosulfate로 back titration 함으로써 vitamin C를 정량했다. 그 결과 '유한 비타민씨 정 1000mg' table...2025.01.16
-
분석화학실험 -Gran plot 실험(Using a pH Electrode for an Acid-Base Titration (The Gran Plot)2025.01.161. Gran plot을 이용한 NaOH 표준화 및 KHP의 K_a 값 결정 이번 실험에서는 Gran plot을 이용해 NaOH를 표준화하고 KHP의 K_a값을 결정했다. primary standard인 KHP를 NaOH로 적정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pH 변화를 pH meter를 통해 관찰한 후, Gran plot을 이용해 end point와 KHP의 K_a값을 결정했다. 그 결과, Gran plot을 이용해 구한 NaOH의 molarity는 0.1055M였고 KHP의 K_a값은 3.3 TIMES 10^{-6}이었으며, 그로부터 구...2025.01.16
-
[화학과 수석의 A+ 레포트] 콜라 속 인의 정량 (분석화학실험)2025.01.161.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Phosphorus in Soft Drink 이번 실험에서는 molybdenum blue method를 통해 콜라 1병(500mL)에 함유된 phosphorus의 양을 정량했다. spectrophotometer로 다양한 농도의 phosphorus standard solution의 absorbance를 측정한 후, 그를 바탕으로 flask 내 P의 양(mu g)를 x축으로 하고 absorbance를 y축으로 한 calibration curve를 얻어 콜라 sample의 ab...2025.01.16
-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12. Gas chromatography 결과 보고서2025.01.181. Gas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GC)는 기체 상태의 시료를 분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GC 장치를 사용하여 benzyl acetate 표준 용액을 분석하였습니다. 실험 절차에는 표준 용액 제조, 시료 주입, GC 운전 조건 설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험 결과로 각 성분의 retention time과 peak area가 제시되었습니다. 1. Gas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GC) is a powerful analytical tec...2025.01.18
-
[A+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9. Preparation of sodium thiosulfate standard solution-Analysis of commercial hypochlorite by iodometric titration (장치도 O)2025.01.181. 산화-환원 적정 이 실험에서는 산화-환원 적정 반응을 이용하여 sodium thiosulfate 표준용액을 조제하고 표백분의 유효염소량을 정량하였다. 요오드법(Iodine method)의 iodimetry(직접적정법)과 iodometry(간접적정법)을 사용하였다. 표백분 수용액에 KI를 가한 뒤 염산을 가하면 유리된 염소(유효염소, available chlorine)가 아이오딘을 유리시킨다. 이 유리된 아이오딘을 sodium thiosulfate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표백분의 유효염소량을 구하였다. 2. sodium thios...2025.01.18
-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8. Kastle-Meyer test2025.01.181. Kastle-Meyer test Kastle-Meyer test는 법의학적으로 혈흔을 추정하는 검사이다. 혈흔을 면봉에 묻히기 전에 에탄올을 적셔주는 것은 혈흔을 더 잘 용해하므로 감도와 특이성을 높여 산화-환원 반응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루미놀 반응과 같이 화학 발광(chemiluminescence)을 이용하거나 형광(fluorescence) 현상을 일으켜 확인할 수도 있다. 2. 혈흔 감식 혈흔과 KM reagent의 반응이 가장 빨랐던 이유는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는 과산화효소 활성을 지닌 효소류나 일부 금속이...2025.01.18
-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6. Determination of chloride-the Fajans method2025.01.181. 침전적정법 침전적정법이란, 목적 성분과 표준용액이 화학양론적으로 용해도 곱 상수가 큰 침전을 신속히 생성시키는 반응을 이용하는 적정분석이다. 침전적정법을 이용하여 시료 중 존재하는 염화물을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2. 은적정법 질산은 표준액은 음이온들과 반응하여 침전을 형성하기 때문에 Cl?, Br?, I?, SCN?, Fe(CN)64?과 같은 음이온을 정량할 때 사용하며, 흡착지시약을 사용하여 침전적정의 종말점을 확인한다. 이렇게 질산은을 이용한 적정법을 은적정법(argentometric methods)라고 한다...2025.01.18
-
분석화학실험 5. Determination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hydrogen carbonate in a sample (Determination of alkalinity)2025.01.181. NaHCO3와 Na2CO3의 반응 메커니즘 NaHCO3와 Na2CO3의 해리, 가수분해, 이온화 반응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총 알칼리도(TA)의 예상 당량점 계산 과정도 제시하였다. 2. HCl 표준용액과 NaOH 표준용액의 실제 몰농도 계산 Na2CO3와 NaHCO3를 이용하여 HCl 표준용액의 실제 몰농도를 계산하였고, phenolphthalein 적정을 통해 NaOH 표준용액의 실제 몰농도를 구하였다. 3. 총 알칼리도(TA) 측정 bromocresol green 지시약을 사용하여 HCl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총 알칼리...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