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임상미생물 실습균주 S.aureus, S.epidermidis, M. luteus2024.09.231. 세균 분리 및 동정 1.1. 실험 목적 및 균주 소개 이 실험의 목적은 모두 catalase 양성인 알균 중에서 생화학적 성상에 따라 Staphylococcus와 Micrococcus로 구분되는 각 균주들을 동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agulase test, mannitol salt agar test, DNase test, O-F test 등의 다양한 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한다.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다음과 같다.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는 인간이나 동물의 피부, 소화관에 상재하는 균으로 ...2024.09.23
-
임상미생물학2024.10.061. 실험 목적 및 실험균주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6.5% NaCl BHI test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test를 통해 Genus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구별하는 것이다. Enterococcus faecalis는 Enterococcus 속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균종으로,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며 cephalosporin 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동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6.5% 식염 내성 여부와 bile...2024.10.06
-
임상미생물학2024.11.041. 실험 목적 및 균주 1.1. 실험 목적 5% NaCl BHI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test를 통해 Genus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구별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Enterococcus faecalis는 Enterococcus 속에서 가장 흔한 균이며, 복강 내 감염, 요로 감염 및 균혈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이다. 또한 Cephalosporin 제에 자연적으로 내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 입원 환자에서 자주 발견된다. 이에 따라 이번 실험...2024.11.04
-
Camp test2024.11.031. 미국 군대의 한국 내 병사 COVID-19 검사 요청 1.1. 한국 연구소에서 미군 72명 양성 판정 한국 연구소에서 미군 72명에 대해 COVID-19 양성 판정을 내렸다. 평택의 험프리 부대 내 미국 병원이 임상 샘플을 위 연구소에 전달했고, 관련 법에 의해 경기도 평택시와 결과를 공유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해당 72명의 확진자들이 한국이 아닌 다른 장소에 배속되어 있던 미군이라고 밝혔다. 1.2. 미군 측은 해당 병사들이 한국 이외의 곳에 배속되어 있었다고 밝혀 미군 측은 해당 72명의 병사들이 실제로는 한국 이외의 ...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