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대퇴골/발목 골절 ORIF 케이스 분석2024.09.1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는 뼈가 부러지거나 인대의 긴장을 경험하는 환자로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형외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외상성 장애이다. 특히 대퇴골은 인체에서 가장 긴 장골로서 신장의 1/4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에 장기간의 치료와 재활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신체적인 문제와 심리적인 문제에 대한 간호까지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골절 후 2년 내 사망률이 25%에 이르고, 또는 정상 생활로 복귀할 확률이 25%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발견이나 수술, 보...2024.09.11
-
수술후 통증간호2024.09.231. 골절의 개요 1.1. 골절의 정의 및 원인 골절이란 외부적 힘에 의해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골절은 골조직의 손상 범위에 따라 경미한 좌상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골절의 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교통사고, 낙상 등의 외부 충격이나 힘에 의한 골절이다. 둘째, 구타나 압박 손상 등으로 인한 골절이다. 셋째, 자연골절로 골다공증 등 병적인 골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골절이다. 넷째, 오랜 기간의 과도한 운동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골...2024.09.23
-
orif2024.11.051. ORIF(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1.1. 정의 ORIF(개방 정복술 및 내부고정술)는 전위가 있는 골절을 수술을 통해 정복하여 스크류나 플레이트 등을 이용해서 체내에서 고정하는 처치이다. 즉, 골절로 인해 어긋난 뼈를 수술을 통해 정확한 위치로 맞추고, 나사못이나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골절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관혈적 정복술 시행 후 교정된 뼈의 정렬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내부 고정 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각 관절의 탈구가 발생하여 연부조직의 감...2024.11.05
-
비구골절2024.10.101. 문헌고찰 1.1. 비구골절의 정의 및 원인 비구(acetabulum)란 관골구라고도 하며 관골 바깥면 중앙에 3개의 뼈가 서로 융합하여 오목하게 패인 곳을 말한다. 비구골절은 비교적 흔한 골절은 아니나 대부분이 교통사고와 추락사고 등 심한 외력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골반골 혹은 근위 대퇴골의 골절 및 주위 연부조직과 내부 장기 손상 등 광범위한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1.2. 비구골절의 병태생리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붕괴된 상태이며 움직임과 감각에 영향을 미친다. 골절은 모든 연령에서,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2024.10.10
-
plate screw 종류2024.11.141. 서론 1.1. 골절의 정의 골절이란 뼈가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골절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 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될 수 있고, 장기적 부동으로 인해 합병증이 유발되므로 간호사는 골절환자의 건강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합병증과 기형을 예방해야 한다. 1.2. 골절의 분류 골절은 뼈가 부서진 상태로, 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쇄성 골절(closed fracture)과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로 나눌 수 있다. 폐쇄성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온전한 상태인 반면, 개방성 골절은 골절부위가 ...2024.11.14
-
os plate screw2024.11.141. 나사(Screw) 1.1. 나사의 의미 나사(Screw)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물체를 고정하거나 압박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 요소이다. 나사를 회전시키면 나사산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전진하면서 나사 머리가 물체에 힘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나사는 뼈나 금속판에 압력을 가하거나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1.2. 나사의 부위별 명칭 1.2.1. 머리 Screw의 머리는 구모양(spherical)이고 반구모양의 아랫부분을 가지며, 직경 3.5mm의 육각형 소켓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Screw를 ...2024.11.14
-
대퇴전자간골절치료2024.11.061. 대퇴골 전자간 골절 1.1. 골절의 정의 및 해부학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해 골조직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골절을 근위부, 간부, 원위부, 대퇴전자부골절, 과골절, 과상부 골절, 관절내골절로 분류할 수 있다. 골절선이 관절면을 침범할 경우에는 관절내 골절로 정의한다. 따라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란 대퇴골 상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부위 쪽에서 발생하는 골절을 의미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1.2.1. 1차 예방 모든 여성, 특히 폐경기 여성에게 칼슘을 섭취하도록 교육...2024.11.06
-
Orif2024.12.311. 대상자 일반 정보 1.1. 인구학적 특성 대상자 유OO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OO은 38세의 기혼 여성으로, 직업은 간호사이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없으며 복용 중인 약물도 없다. 가족으로는 회사원인 38세 배우자와 8세, 6세 두 명의 아들이 있다. 경제적 수준은 중간 정도이다. 1.2. 과거력 및 가족력 과거력 및 가족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평소 운동량이 많지 않은 편이었으며, 고혈압, 당뇨, 심질환, 악성종양, 간질환, 호흡기 질환, 관절염, 혈액질환, 절단, 정신질환의 과거력은 없었다. 수두를 앓은 경...2024.12.31
-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ORIF 케이스2024.10.221. 쇄골 골절 1.1. 정의 쇄골은 가슴 윗부분의 양쪽에 하나씩 있는 뼈로 가슴뼈와 어깨뼈를 이어주는 뼈이다. 쇄골 골절이란 이 쇄골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힘으로 인해 쇄골이 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1.2. 원인 쇄골 골절의 원인은 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발생한다"" 출동이나 추락, 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등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 밖에도 골다공증이나 종양, 골수염 등 뼈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경도의 물리적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골절이 발생...2024.10.22
-
골절 케이스 A2024.08.281. 서론 1.1. 질환에 대한 개요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사지골절, 척추골절 그리고 늑골, 두개골, 안와 등과 같은 기타 골절로 나눌 수 있다. 골절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나눌 수 있다. 단순골절은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이며, 분쇄골절은 두 개 이상의 골전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