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염기서열 경우의 수2024.11.161. 생물정보학 개론 1.1. 생물정보학의 정의 생물정보학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야를 포함하는 학문이다. 즉, 생물학적 정보를 저장, 검색, 구성, 분석하는데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생물정보학은 유전체 서열에서 유전자를 찾아내고 데이터베이스 자료와 비교하여 유사성 정도를 확인하며 유전자 산물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고 진화적인 관계를 유추하는 등 다양한 생물학 연구에 사용된다. 생명과학 분야에 컴퓨터 기술이 접목되면서 생물정보학이 발전하게 되었으며, 현재 생물학, 의학, 농업 등 다양한 ...2024.11.16
-
인간 게놈 프로젝트속 확률과 통계2024.10.061. 유전체 연구의 현재와 전망 1.1. 서론 유전체 연구는 인간과 생물의 모습을 결정짓게 되는 DNA 염기서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이는 생물의 총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체(게놈)를 밝혀내고자 하는 노력이다. 1988년에 시작된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인간 유전체 연구의 대표적인 사례로, 30억 개의 DNA 염기를 모두 해독하여 유전자의 위치와 배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전자의 기능과 질병 유발 매커니즘 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난치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2024.10.06
-
NGS 원리와 방법2025.06.091. 서론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DNA 및 RNA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방법이다. 이 기술은 기존의 생어 염기서열 분석법을 크게 개선하여 대량의 유전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NGS 기술의 원리와 분석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유전체 연구와 유전성 질환의 진단에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해독하고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을 규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NGS 기술의 발전 과정과 주요 분석 방법을 살펴보고, DNA...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