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보건교육 에이즈2024.09.131. 에이즈(AIDS) 바로 알기 1.1. 에이즈(AIDS) 정의 에이즈(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영어 머리글자인 AIDS를 영자로 발음한 소리이며, 우리말의 정식명칭은 후천성면역결핍증이다. '면역결핍증'은 인체 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 세포를 파괴하여 면역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에이즈란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건강한 인체 내에서는 활동이 억제되어 병을 유발하지 못하던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병원체로 재활하거나 새로운 균이 외부로부터 침입,...2024.09.13
-
감염 사례 대처방안2024.09.161. 서론 에이즈는 WHO를 비롯한 각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거의 전 세계에 걸쳐 확산되고 있고, 이제까지는 상대적으로 안전지대라고 생각되었던 아시아 지역도 감염자 및 환자 수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5년 이래 에이즈 환자와 HIV감염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내국인간의 성 접촉으로 인해 감염자 수가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중대한 보건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완치 가능한 치료제나 예방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지만 에이즈 감염은 올바른 지식과 건전한 생활습관만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2024.09.16
-
아동간호학 무균성 수막염 간호과정 요약2024.09.201. 무균성 뇌수막염과 패혈증 1.1. 발병 원인 및 유발 요인 무균성 뇌수막염의 주된 발병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대다수의 무균성 뇌수막염 사례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원인 바이러스로는 아르보바이러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인간 파레코바이러스(Parechovirus, PeV)로도 알려진 파레코바이러스는 Picornaviridae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흔히 아이들에게 감염...2024.09.20
-
에이즈 진단2024.09.191.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의 개요 1.1. 에이즈의 개념 에이즈(AIDS)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어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감염되어 인체의 면역력이 결핍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HIV 감염으로 인해 인체의 면역세포인 CD4 양성 T 림프구가 파괴되어 각종 감염성 질환과 암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는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의 일종으로, 그...2024.09.19
-
에이즈 사례보고서2024.10.021. 후천성면역결핍증(HIV/AIDS)의 이해 1.1. 개념과 원인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로,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이다. HIV에 감염되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인 CD4 양성 T-림프구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파괴되므로 면역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각종 감염성 질환과 종양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인체의 면역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이러한 감염증과 종양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상태를 에이즈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증이라고...2024.10.02
-
감염관리실 주사침 사고 예방 교육2024.10.011. 주사침 자상 사고의 위험성 1.1. 주사침 자상 사고의 정의 주사침 자상 사고란 사용된 주사기나 기타 날카로운 의료 기구에 의해 피부가 찔리는 사고를 말한다. 이러한 주사침 자상 사고는 의료 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데, 주사기나 주사침에 의한 경피적 노출이 8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의료 종사자들이 주사 및 기타 시술 과정에서 주사침이나 날카로운 기구에 찔려 혈액 매개 감염 질환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사침 자상 사고의 정의는 "사용된 주사기나 기타 날카로운 의료 기구에 의해 피부가 찔리는 사고"...2024.10.01
-
볼거리 간호진단2개2024.10.131. 바이러스성 수막염 1.1. 원인 무균성 수막염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성 수막염(viral meningitis)의 주요 원인균은 장바이러스(enterovirus),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그리고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이다." 원인균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광범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장바이러스나 볼거리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다....2024.10.13
-
감염관리 대처방안2024.10.031. 에이즈(AIDS)의 정의와 특성 1.1.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일컫는 말로, 영어 명칭인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머리글자를 딴 명칭이다. HIV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되며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와서 면역세포를 파괴시키는 바이러스이다. HIV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말해 주듯이 사람의 면역 기능을 약화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HIV에 감염되면 인체의 CD4+ T 림프구가 점차 감소하여 ...2024.10.03
-
에이즈 레포트2024.11.201. HIV와 AIDS 1.1. HIV의 정의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유발하는 원인 병원체이다. HIV는 인체에 침입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 특히 CD4+ T 림프구를 공격하여 그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면역기능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감염인은 각종 기회감염 질환에 걸리기 쉬워지며, 결국 AIDS로 진행하게 된다. HIV는 감염인의 혈액, 정액, 질분비물, 모유 등 체액에 다량 존재하므로, 이러한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주로 감염된다. ...2024.11.20
-
에이즈 보건교육2024.11.261. 에이즈(AIDS) 바로 알기 1.1. 에이즈와 HIV의 정의 1.1.1.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면역력 저하 증상을 의미한다. 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자이며, '면역결핍증'이라고도 불린다. AIDS는 인체 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 세포가 파괴되어 면역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건강한 사람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는 일반적인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병...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