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DNA전기영동2024.10.121. DNA 전기영동 실험 1.1. 실험 개요 DNA 전기영동 실험은 증폭된 DNA 산물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한 기본적인 실험 기법이다. 이번 실험의 주요 목적은 전기영동을 통해 DNA의 특성과 구조를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방식을 활용하여 DNA 분자의 크기별 분리와 관찰이 가능하다. DNA는 수용액 상태에서 음전하를 띠고 있어 전기장이 가해지면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DNA 분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빠르게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시료에 포함된 DNA 단편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전...2024.10.12
-
전기영동 및 플라스미드 추출, 식물 유전자 분석2024.11.301.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전기영동 1.1. Agarose Gel 만들기 1% Agarose gel을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1× TAE 용액 100㎖에 Agar를 1g을 섞어서 1%로 만든다. 그 다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완전히 녹일 수 있도록 열을 가한다. 또한 magnetic bar와 stirrer를 이용하여 녹일 수도 있지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다. 그 후 EtBr을 Agarose gel 용액에 1X만큼 넣어준다. EtBr은 DNA를 염색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2024.11.30
-
1. DNA 전기영동에서 사용되는 TBE buffer의 구성물질과 각각의 역할에 대해서 조사(특히 EDTA에 대해서 자세히2025.05.221. DNA 전기영동에서 TBE buffer의 구성과 역할 1.1. TBE buffer의 구성 TBE 버퍼는 트리스 염기, 붕산, EDTA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트리스 염기는 양이온을 공급하여 (-) 전하를 띠고 있는 DNA를 운반한다. 붕산은 트리스로 인해 높아진 pH를 낮추어 DNA의 변성을 방지한다. EDTA는 2가 양이온을 결합시켜 제한효소의 활성을 억제한다. 이처럼 TBE 버퍼는 pH 유지, 전하 운반, 2가 이온 제거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DNA 전기영동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1.2. EDTA의 역할 EDTA는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