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양성종양2024.10.011. 면역계의 기능과 과민반응 1.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계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가 관여하며, 크게 B-림프구, T-림프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대식세포로 구성된다. B-림프구는 항체중개성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골수에서 발생하여 성숙한 후 림프조직으로 이동한다. B-림프구는 항원에 감작되어 항체를 생성하며, 이 항체는 이종 단백질을 중화, 제거, 파괴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박테리아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림프구는 세포매개성 면역을 담당한다. T-림프구에는 helper/inducer ...2024.10.01
-
중환자실 실습 사례: DIC 발생기전 및 치료2024.09.251. 서론 1.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임신 시 출혈은 대부분 응급상황에서 일어나므로 출혈 조절과 실혈보충 등 신속한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 저혈량성 쇼크가 일어나 결과적으로 저섬유소원혈증과 파종성 혈액응고장애를 초래한다. 파종성 혈관내 응고장애란 혈액 응고 인자의 소비로 인하여 응고 장애 상태가 되는 것으로 출혈이 멈추어지지 않아 대량 출혈이 되고 마는 상태이다. 이것은 임산부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피의 응고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피의 응고(blood clot)는 피의 흐름을 감소시키고...2024.09.25
-
혈액응고 기전과 항혈전제 약리작용2024.11.081. 종양 1.1. 종양의 영향 1.1.1. 국소영향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다. 종양은 인체 내에 종괴(조직덩어리)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인접한 조직에 압박, 괴사, 폐색 등의 영향을 미친다. 즉, 종양이 자라면서 주변 조직을 압박하여 해당 기관의 기능을 저해하거나 폐색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주로 궤양이나 미란 부위에서 출혈이 일어난다. 또한 종양이 장막을 침범할 경우 염증 반응이 나타나 흉수나 복수가 생기게 된다. 종양이 말초신경을 침범하게 되면 감...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