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kdc와 ddc 비교2024.11.201. 주요 자료 분류표 특징 비교 1.1. 역사 DDC(듀이십진분류법)는 1876년 미국 암허스트대학의 멜빌 듀이가 초판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1876년 당시 듀이는 대학 도서관 사서로 재직 중이었는데, 당시 도서관들이 대부분 사용하던 문자기호법보다 십진식 기호법이 보다 잘 작동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그는 도서관 장서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복잡한 문자기호법으로는 도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어려워졌다고 판단하였다"". 듀이는 당시 프랜시스 베이컨의 지식체계 분류론과 조셉 그린리프 스미스의 열거방식 분류를...2024.11.20
-
ddc 23판2024.11.301. 주요 자료 분류표 비교 1.1. 분류표 개요 1.1.1. 분류표의 정의와 역할 분류표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정리하여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이다. 분류표의 정의는 "문헌 자료를 주제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고 번호를 부여하여 자료의 검색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분류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류가 지속적으로 축적해온 지식을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지식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둘째, 자료의 용이한 검색과 관리를 통해 학문으로 표현될 수 있는 ...2024.11.30
-
한국십진분류법2024.11.191. 주요 자료 분류표의 특징 비교 1.1. 역사 DDC(듀이십진분류법)는 1876년 미국 암허스트대학의 멜빌 듀이가 처음 개발한 분류법이다."" DDC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준분류법으로, 지금까지 23판까지 개정되어 왔다. 현재는 웹 기반의 "Web-Dewey 2.0"형식으로도 제공되고 있다."" KDC(한국십진분류법)는 1964년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에서 처음 발행된 한국 고유의 분류법이다."" KDC는 DDC의 주류 체계를 바탕으로 하되, 한국과 동양 관련 주제의 전개에 우위를 두며 DDC의 문제점을 개선하여...2024.11.19
-
십진분류법 보조표 비교 연구 DDC와 KDC 차이 분석2025.06.041. 서론 도서관 분류는 인류가 지속적으로 축적시켜왔던 지식을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그것을 체계화하는 것을 통하여 보다 나은 지식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인류가 발전시켜온 지식은 주로 '학문'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발전되고 있었으며, 이것을 분류하는 작업은 자료를 용이하게 하며 학문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류의 지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고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의 경우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하여 학문 및 정보에 대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관찰할 수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2025.06.04
-
십진분류법 보조표 연구 DDC와 KDC 비교2025.06.041. 서론 1.1. 도서관 분류의 중요성 도서관 분류의 중요성이다. 도서관 분류는 인류가 지속적으로 축적시켜왔던 지식을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체계화함으로써 보다 나은 지식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인류가 발전시켜온 지식은 주로 '학문'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발전되고 있었으며, 이것을 분류하는 작업은 자료를 용이하게 하며 학문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류의 지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하여 학문 및 정보에 대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사회 전반에 걸...2025.06.04
-
한국 문헌분류의 역사2025.05.211. 한국 문헌분류의 역사 1.1. 분류와 문헌분류 분류는 유개념을 어떤 특징을 기준으로 삼아 점차 분석하여 종개념으로 조직하는 것이다. 문헌분류는 일체의 정보자료를 그 주제에 따라 배열하고 형식에 따라 구분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직 및 그 조직에 따라 정보자료를 당해 위치에 배정하는 것, 즉 분류표와 분류작업을 의미한다. 분류는 유사한 개념들을 모아 상위 개념으로 정리하는 것이며, 문헌분류는 정보자료의 주제와 형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고 배치하는 것이다. 분류와 문헌분류는 기본적으로 유사한 개념이지만, 분류가 보다 일반적인 개...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