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수혈요법오류예방지침2024.11.121. 안전 간호 관리 규정 및 지침 1.1. 의약품 관리 1.1.1. 의약품 관리 위원회 운영 의약품 관리 위원회는 병원 내 원내 의약품 관리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의사결정 기구이다. 이 위원회는 의사, 간호사, 약사, 구매 관련 행정직원 등 10인 내외로 구성되며, 위원장을 포함하여 운영된다. 위원회는 신약 목록 정비, 의약품 목록 정비, 소모부진 의약품 처리,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샘플 의약품 관리 등 원내 의약품 관리 전반에 대해 심의하고 의결한다. 또한 매년 차기연도 의약품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승인하고, ...2024.11.12
-
투약QPS2025.02.021. 서론 1.1. 환자안전사건 보고 및 학습 시스템의 필요성 환자안전사건은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오류로 인하여 환자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뻔 했거나 발생한 경우이다. 투약오류, 수혈 부작용, 자해, 도주, 시술관련 오류, 환경이나 시설 또는 의료기기에 의한 사고, 검사와 관련된 오류, 폭력, 화상 등 환자에게 해를 미칠 수 있는 모든 상황 및 사고를 포함한다. 환자안전사건 보고 및 학습 시스템은 이러한 환자안전사건이 발생한 경우 사고를 보고하는 절차 및 사고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2025.02.02
-
일반시설안전관리자예상문제2024.09.081. 안전관리 개요 1.1. 안전관리의 정의 및 중요성 안전관리는 의료의 질 향상의 확대된 개념으로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계획된 과정이다"이다. 안전관리에는 정확한 환자 확인, 낙상예방, 화재예방, 투약오류예방, 수혈오류예방, 화상예방, 자살예방, 도난방지, 고위험의료기기 관리, 위해의료폐기물 관리, 방사능 안전관리, 재난관리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이다. 1.2. 안전관리의 대상 안전관리의 대상은 크게 전산장애, 화재,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