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정리2024.10.041. 호흡기계 1.1. 호흡기계 구조 1.1.1. 상부 호흡기 상부 호흡기는 코와 코인두, 구인두, 후두로 구성된다. 코(鼻腔)는 상부 호흡기의 시작부로 공기를 여과, 가온, 가습하는 역할을 한다. 코 안쪽 벽을 이루는 점막에는 다수의 혈관과 점액선이 있어 공기의 가온 및 가습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코털과 점액섬모체계에 의해 흡입된 먼지, 미생물, 독성 물질 등을 제거하는 방어 기능도 있다. 코인두(鼻咽頭)는 비강과 인두를 연결하는 부위로, 공기가 통과하는 호흡 통로일 뿐만 아니라 발음과 연하 작용에도 관여한다. 구개인...2024.10.04
-
성인간호학 수문사 호흡2024.10.01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구조 1.1.1. 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 기관은 직경 2~2.5cm, 길이 11cm의 관으로 기관분기부(제 5번 등뼈와 복장뼈몸통자루 경계부위)에서 오른쪽과 왼쪽 2개의 주기관지로 갈라진다. 기관의 내강은 섬모가 붙어있는 상피세포로 구성되고 술잔세포에서는 점액을 분비한다. 기도근육은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이완되어 내강이 넓어지고 부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수축되어 좁아진다. 두 개의 주기관지 중 오른 주기관지는 왼 주기관지에 비해 굵고 짧으며, 경사가 급해 흡인이 용이하다. 오른 주기관지는 가가 ...2024.10.01
-
미숙아 무호흡 간호과정2024.10.0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미숙아 무호흡증(Apnea of prematurity, AOP)은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서 발생 원인은 출생 시 호흡조절의 미숙, 근육 미숙, 호흡반사의 미성숙으로 인한 반사의 부재로 주로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케이스 대상자 아기는 NICU 미숙아 아기들 중에서도 가장 작은 체구이며 간헐적 무호흡 증상을 보이고 있어 호흡기를 적용하고 있어 대상자에게 맞는 간호에 대해 공부하고 싶었다. 따라서, 호흡기계 질환 중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2024.10.08
-
산 염기불균형간호과정2024.09.291. 산-염기 균형 1.1. 산-염기 화학 산-염기 화학은 산과 염기의 특성과 작용 원리에 대한 화학적 해석이다. 산(Acid)은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 이온(H+)을 방출하는 물질로,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산성을 띠게 한다. 반면 염기(Base)는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 이온을 받아들여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를 감소시켜 염기성을 띠게 한다. 우리 몸에는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산성 물질들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산을 중화시키기 위해 염기성 물질들이 함께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중탄산염(HCO3-)과 탄산(H2CO3)이 대...2024.09.29
-
미숙아 AOP case2024.10.1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미숙아 무호흡증(AOP, apnea of premature)은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서 발생 원인은 출생 시 호흡조절의 미숙, 근육 미숙, 호흡반사의 미성숙으로 인한 반사의 부재로 주로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호흡기계 질환 중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그 발병률이 증가추세인 AOP를 직접 신생아를 통해 문헌에 나타나는 양상을 비교를 해보고, AOP의 발병기전, 증상 및 치료, 간호, 많은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호흡양상을 케이스스터...2024.10.10
-
미숙아 무호흡 간호과정2024.11.2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미숙아 무호흡증(AOP, apnea of premature)은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중 비교적 흔하고 경한 질환으로서 발생 원인은 출생 시 호흡조절의 미숙, 근육 미숙, 호흡반사의 미성숙으로 인한 반사의 부재로 주로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 질환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케이스 대상자 아기는 NICU 미숙아 아기들 중에서도 가장 작은 체구이며 간헐적 무호흡 증상을 보이고 있어 호흡기를 적용하고 있어 대상자에게 맞는 간호에 대해 공부할 ...2024.11.23
-
간호사국가고시총정리2024.09.081. 호흡기계 장애와 간호 1.1. 구조와 기능 상부기도는 비강(코포함)과 부비동, 인두, 후두로 구성된다. 비강은 후각기능, 공명작용, 가온기능, 가습기능, 여과기능을 수행하며 비강 점막 아래 많은 혈관이 분포하여 외상 시 출혈의 원인이 된다.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속의 빈공간으로 소리의 공명작용을 하며 섬모운동으로 이물질을 포획하여 배출하는 호흡기의 첫 번째 방어선 역할을 한다. 인두는 비인두, 구인두, 후인두로 구성되며, 유스타키안관이 중이와 인두를 연결하여 기압차를 조절한다. 후두는 인두와 기관을 연결하는 관으로 성대를...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