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폐기종 케이스2024.10.041. 폐기종 사례 및 문헌고찰 1.1. 사례소개 73세 남성 서씨는 일주일 전 활동을 하면 숨을 하게 헐떡이게 된다며 호흡기내과 외래를 방문하였다. 서씨는 흉부 X-ray와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등을 실시하고 폐기종 진단을 받았다. 서씨에게는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지속적인 산소치료가 처방되었으며 간호사는 산소기구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가정방문하여 측정한 서씨의 활력징후는 BP 140/80mmHg, Pulse 96회/분, Resp 22회, Temp 36.8°C이며 O2 saturation으로 측정한 결과 안정 시 83%가 나...2024.10.04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호흡운동의 효과2024.10.061.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개요 1.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지속적인 기도폐쇄가 특징이며,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다. 기도폐쇄는 주로 진행성이며, 흡연, 유독성 가스입자에 의한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다. 이전에는 COPD는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으로 정의하였다. 만성 기관지염은 만성 기침의 원인이 없는 환자에게서 객담을 동반한 기침이 3개월 이상 2년에 걸쳐 계속되는 것이며, 폐기종은 세기관지 말단에서 섬유화 없이 세기관지 벽의 파괴를 동반하는 비정상적이고 영구적인 기공의 확장이다...2024.10.06
-
특발성 폐 섬유증2024.10.291. 서론 나는 현재 --호흡기병동에서 실습을 하고 있다. 호흡기계 병동은 호흡기계 질환 환자 진료와 중환자 진료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며 주요 진료 분야는 폐암, 폐결핵, 비결핵성 항산균 폐질환,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의 호흡기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이다. 호흡기내과 병동 간호사는 입원환자의 검사, 시술 준비 및 전후 간호, 확진 후 치료를 위한 간호(환자 상태 모니터링, 투약, 증상에 따른 중재 등)를 수행한다. 병동 특성 상 인공호흡기 관리, 흉관 관리, 기관절개관 관리 등 중환자 케어를 위한 업무가 많은 편이다. 특발성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