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micu 실습일지2024.09.181. 중환자실 실습 경험 1.1. 심정지와 관련된 질환 심정지와 관련된 주요 질환으로는 급성심근경색증, 심장성 쇼크, 심실세동, 심실빈맥 등이 있다. 급성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근에 허혈이 발생하여 심근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면서 쇼크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심실세동은 심실근육이 무질서한 전기적 활성을 보이는 상태로, 심장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해 혈액 순환이 정지되는 심정지 상태를 유발한다. 심실빈맥은 심실의 불규칙한 빠른 박동으로, 효과적인 심장 수축을 방해하여 결국 심...2024.09.18
-
간호이론 당뇨병2024.10.101. 당뇨병 개요 1.1. 정의 사람이 섭취한 음식물은 대부분 위 혹은 장에서 포도당으로 바뀐 뒤 혈액을 통해서 포도당을 세포로 운반한다. 이때, 사람의 몸은 세포로 운반된 포도당의 양에 따라서 적절한 양의 인슐린을 췌장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하며 포도당이 세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인슐린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할 경우 포도당이 혈액에서 축적된다. 이를 제 1형 당뇨병 혹은 소아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라고 하며 예방할 방법은 없고 급격하게 진행되는 ...2024.10.10
-
진단검사와 간호 정리2024.09.261. 진단적 검사 1.1. 혈액 검사 1.1.1.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는 혈액의 주요 구성 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치와 수치에 따른 다양한 지표를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혈액 검사이다. 적혈구(Red Blood Cell, RBC)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혈색소(Hemoglobin, Hb)는 적혈구 내에 함유된 산소 운반 단백질이다. 적혈구 수, 혈색소 농도, 헤마토크릿(Hema...2024.09.26
-
임상병리사 미생물2024.10.021. 임상병리학 1.1. 임상병리학의 정의 임상병리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자의 혈액, 조직, 생체액을 물리, 화학, 유전학 및 미생물적으로 검사하는 학문이다. 이는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병리학은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2024.10.02
-
당뇨 케이스2024.12.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인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이다. 당뇨병 전단계까지 포함하면 10명 중 3명이 당뇨병 환자이거나 잠재적 당뇨인이다. 특히 한국과 같은 아시아에서 당뇨병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2030년에는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가 5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리고 당뇨라는 질병을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질병이다. 하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당뇨병 환자가 자신이 당뇨병인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고, 치료를 하고 있지 않는 당뇨병 환자도 많이 있어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당뇨병은 특정하...2024.12.15
-
환자경험여정맵2025.03.181. 환자경험여정맵 1.1.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환자의 방광에 저장되어 있는 소변을 체외로 배출하는 기본적인 간호 술기이다. 단순도뇨의 목적은 소변 배출과 검사를 위해 실시되며, 소독된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채취한다. 단순도뇨 수행 과정에서 환자는 자신의 노출된 회음부에 대한 수치심과 함께 절차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에게 정확한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여 불안감을 해소시킨다. 소독과 삽입 과정에서도 차가운 느낌과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미리 고지하고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시...2025.03.18
-
당뇨발 케이스2024.08.151. 서론 1.1. 당뇨발 질환의 개요 당뇨발 질환은 당뇨병을 앓는 환자의 발에 생기는 신경병, 구조적 변형, 피부 못, 피부와 조갑의 변화, 발의 궤양, 감염, 혈관 등의 질환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수요와 공급이 서로 맞지 않아 발생하는 대사 장애로서, 인슐린의 결핍에 의해 고혈당이 특징인 당질대사 장애와 함께 지방 및 단백질 대사 장애를 동반한다"" 즉 절대적 혹은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필요한 양 만큼의 인슐린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내분비계 질환이다""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당뇨발(diabet...2024.08.15
-
환자경험여정맵2025.03.281. 환자 경험 여정 맵 1.1. 핵심 기본 간호술 - 단순 도뇨 단순 도뇨 절차 단순 도뇨는 방광에 있는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간호술이다. 단순 도뇨 절차의 목적은 방광 내 소변을 배출하여 요정체를 예방하고 소변 검사를 위해 소변을 채취하는 것이다. 먼저 간호사는 환자에게 단순 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자세히 설명한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커튼을 치고 이불을 덮어주며, 가능하면 같은 성별의 의료진이 처치하도록 한다. 환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 다음으로 간호사는 도뇨 부위를 ...2025.03.28
-
환자경험여정맵2025.03.311. 환자경험여정맵 1.1.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방광을 통해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단순도뇨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에게 단순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이때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커튼을 치고 이불을 덮어준다. 가능하다면 같은 성별의 의료인이 처치를 하도록 한다. 환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하며, 다리를 개구리 모양이나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벌리도록 한다. 소독 시 차가운 느낌이 들 수 있음을 설명하고, 삽입 전 충분한 윤활젤을 바르는 등 통증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2025.03.31
-
노인간호학 당뇨병 파킨슨병 케이스스터디2025.04.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노인병동에 입원한 대상자의 상당수가 2형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60대 이상 노인 환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노년기에 흔한 만성질환이다. 의학이 발전하면서 당뇨병 환자의 수명이 늘어났지만, 이에 따라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도 더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에게 정기적인 경과 관찰과 적절한 간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당뇨병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 문헌고찰 1.2.1. 당뇨...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