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항혈전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2024.09.101. 항혈전제의 이해 1.1. 혈액응고 기전 혈액응고 기전은 출혈이 발생하면 초기에 혈관이 수축하여 손상된 부위로 혈액이 흐르는 것을 임시로 막는 것으로 시작된다. 혈관벽이 손상되면 내피 밑층이 노출되고, 혈소판이 혈관의 아교질(collagen)에 부착한다. 혈관에 부착한 혈소판은 활성화되어 여러 물질을 분비하고, 이들이 주변의 혈소판을 결합하게 하여 혈소판 마개(platelet plug)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혈관 내피세포에 조직인자(TF,tissue factor)가 발현되면 혈액내의 Ⅶ인자와 급속히 결합하여 혈액응고 인자의 활...2024.09.10
-
항혈전제2024.11.081. 항혈전제(Antithrombotic Agents) 1.1. 혈액응고 기전 출혈이 발생하면 초기에 혈관은 수축하여 손상된 부위로 혈액이 흐르는 것을 임시로 막는다. 혈관벽이 손상 받으면 내피 밑층이 노출되고, 혈소판이 혈관의 아교질(collagen)에 부착한다. 혈관에 부착한 혈소판은 활성화되어 여러 물질을 분비하고, 이들이 주변의 혈소판을 결합하게 하여 혈소판 마개(platelet plug)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혈관 내피세포에 조직인자(TF,tissue factor)가 발현되면 혈액내의 Ⅶ인자와 급속히 결합하여 혈액응고 인...2024.11.08
-
응급실 협심증 케이스스터디2024.11.1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불안정 협심증은 관동맥의 협착이나 폐쇄에 의해 심근의 파괴가 진행되는 초기 단계로, 심근 효소의 상승이 일어나기 전의 상태이다. 이는 당뇨나 고령의 환자에서 증상이 없을 수 있으며, 관동맥의 상태에 따라 심전도 상의 변화도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의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불안정 협심증 환자의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검사, 치료법, 그리고 간호 중재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불안정 협심증의 효과적인 관리와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문...2024.11.13
-
고위험 의약품2024.11.301. 고위험 의약품 관리 1.1. 고위험 의약품 정의 고위험 의약품이란 "오류 발생 시 환자와 직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해 또는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성이 높아, '처방, 보관, 조제, 이송, 투여, 폐기' 시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의약품"이다. 고위험 의약품에는 고농도 전해질(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등), 항응고제(헤파린), 인슐린 주사제, 주사용 항암제, 중등도 진정 의약품(프로포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약물은 투여 오류 시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를 줄 수 있기 때...2024.11.30
-
heparinization2025.01.091. 헤파린(Heparin) 1.1. 혈액 응고 기전 혈액 응고는 혈관의 수축, 혈소판의 유착, 응고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손상된 혈관이 복구되면서 출혈이 중지되는 것이다. 이는 초기 혈액 내의 혈관수축반응, 혈소판 마개의 형성, 그리고 안정된 응고 덩어리를 형성하기 위한 혈액응고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먼저 혈관이 손상되면 혈관 수축반응이 일어나 출혈을 줄이고 혈소판이 혈관 내막에 달라붙어 혈소판 마개를 형성한다. 이때 혈소판은 fibrinogen을 fibrin으로 변화시켜 혈병을 만들어 출혈을 막는다. 다음으로 체내 응고 ...2025.01.09
-
카테터 종류2024.12.191. 혈관 카테터 종류 1.1. 말초정맥 카테터 (Intravenous catheter) 말초정맥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손, 상박 등에 삽입하며 최대 4일까지 유지가능하다. 정맥주사에 흔히 사용되며, 수혈, 수액/약물 주입, 조영제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혈류감염을 잘 일으키지는 않으나 장기간 사용 시 정맥염이 나타날 수 있다. 카테터의 gage 숫자가 작을수록 바늘크기가 굵고 길어진다. 18G 카테터는 수술전 환자, 수혈 환자, CT, MRI 환자에게 적용되며 응급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24G 카테터는 가장 얇고 짧아서 단순 약물...2024.12.19
-
투석 헤파린2025.01.261. 투석 헤파린 1.1. 혈액 응고의 메커니즘 혈관이 손상되면 혈소판 활성화 과정이 일어나서 혈소판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혈소판은 ADP나 thromboxane과 같은 물질을 분비하고 서로 붙어 글라이코프로테인이 발생한다. 이때 fibrinogen이 응집하여 혈액응고가 시작된다. 또한 혈관 손상은 조직 인자(tissue factor)를 노출시키게 되고, 이 조직 인자는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활성화시킨다. 이 thrombin은 fibrinogen을 fibrin으로 전환시켜 혈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2025.01.26
-
항응고제 컨퍼런스 발표 준비 자료2025.01.301. 항응고제(Anticoagulant) 개요 1.1. 항응고제의 정의 항응고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항응고제는 혈액의 응고 능력을 감소시켜 혈관 내에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혈전의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이다. 혈전은 혈관 속에서 혈액이 굳어진 덩어리를 의미한다. 혈전 생성은 보통 혈관 손상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생기며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혈관에 손상이 생기면 먼저 혈구 세포의 하나인 혈소판이 손상 부위에 부착되어 덩어리를 만들고, 그 후에 혈액 응고 단백질들이 섬유소 망을 형성하여 단단히 뭉치게 함으...2025.01.30
-
기본간호학2 과제2024.09.021. 고위험 약물 1.1. Heparin 1.1.1. 약명과 제형 Heparin의 약명과 제형은 다음과 같다. Heparin은 헤파린 바이알에 든 주사제 형태이다. 주사용 약물로 정맥 내, 피하, 근육 주사로 투여된다. 헤파린은 동물의 점막이나 간장 등에서 추출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으로, 천연형과 합성형이 있다. 헤파린은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여 항응고제로 널리 사용된다.KCl의 약명과 제형은 다음과 같다. KCl은 염화칼륨 주사액 앰플 형태로 제공된다. 염화칼륨 주사액은 저칼륨혈증 치료나 디기탈리스 중독 치...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