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혈액형 판정 실험 A2024.09.111. 혈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1.1. 서론 1.1.1.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체내를 순환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체액이다. 혈액은 크게 세포 성분인 혈구와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되며, 혈장에는 다양한 영양분, 호르몬, 면역물질 등이 용해되어 있다. 적혈구는 혈액 중 약 45%를 차지하는 가장 많은 세포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반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핵이 없는 대신 헤모글로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띤...2024.09.11
-
antibody2024.09.181. 항체 (Antibody) 1.1. 항체 (antibody, Ab)의 정의 항체(antibody, Ab)는 항원과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항체는 혈액과 체액에 녹아있는 면역글로부린(immunoglobulin, Ig)으로, B 림프구의 세포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와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형태로 존재한다. 항체는 항원수용체(antigen receptor)로 작용하여 B 림프구가 항원과 반응할 수 있게 해주며, 분비된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항원이 제거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는 단백질로...2024.09.18
-
면역학 정리2024.09.231. 면역의 개념 1.1. 면역의 정의 면역이란 "한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이다. 이는 감염방어면역, 종양면역, 알레르기질환, 자가면역질환, 이식 분야 등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현재의 면역 개념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서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을 의미한다. 즉, 면역반응은 항원의 인지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에는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 골수 등이 있으며, 면역에 관여하는...2024.09.23
-
임상병리 수혈의학2024.10.011. 수혈 관련 검사 1.1. ABO 혈액형 검사 ABO 혈액형 검사는 수혈하기 전에 반드시 시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검사이다. ABO 혈액형 항원은 적혈구 뿐만 아니라 혈관내피세포, 상피세포 등 우리 몸의 많은 장기에 존재하기 때문에 ABO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심각한 급성 용혈성 수혈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ABO 혈액형은 장기이식 시에도 중요한데, ABO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초급성 이식거부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다행히 골수이식의 경우 ABO 혈액형 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아 ABO 혈액형을 맞출 필요...2024.10.01
-
약학과 면역학1 정리자료 요약본2024.10.101. 면역학 개요 1.1. 면역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면역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면역 시스템은 감염을 인지하고 스스로 방어 기제를 유도하는 기본적인 4가지 기능을 갖는다. 첫째, 항원을 인식하고 둘째, 항원 특이적 effector 세포를 활성화하며 셋째,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넷째, 면역 기억을 유지한다. 이를 통해 감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향후 재감염에 대비할 수 있다. 면역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세포들은 골수 유래 세포와 림프계 세포로 나뉜다. 골수 유래 세포에는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과립구(호중...2024.10.10
-
면역학 정리2024.10.241. 면역 1.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이란 한번 특정 감염증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증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면역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여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감염방어, 종양제거,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이식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면역반응은 크게 항원의 인식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이때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기관으로는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2024.10.24
-
면역혈청학2024.10.201. 면역혈청학의 기초 1.1. 혈청학의 정의와 개요 혈청학은 면역학에 기초를 둔 실기적인 학문으로, 항원과 항체 반응을 취급하는 과학이다. 항원은 어떤 물질이 이종동물에 체내로 들어갔을 때 그 동물의 체내에서 체액성 또는 세포성 면역을 유도해내는 성질을 가진 이종단백을 말한다. 항체는 항원을 투여한 생체가 생성한 혈청단백으로서 투여된 그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혈청학은 전염병의 진단, 치료 및 예방, 미생물의 분류 및 동정, 수혈 및 장기 이식, 자가면역 질환의 진단과 치료, 법의학적 응용 등 다양...2024.10.20
-
생물학2024.08.291. 생체의 면역기구와 체계 1.1. 면역의 필요성 면역은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입히는 항원에 저항하고, 생체의 내부 환경이 병원체나 세균 등의 항원에 대하여 저항하는 신체의 능력이다. 이러한 면역력이 저하되면 체내로 들어오는 병원체나 독소에 대한 저항능력이 떨어져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내장 기관의 활동 능력이 저하되어 소화 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대상포진, 만성피로, 빈혈, 피부 질환, 구내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몸은 외부로부터 침입하려는 병원체나 세균에 대해 방어하는 작...2024.08.29
-
인체의정상생리기전2024.08.291. 면역기전 1.1. 면역의 정의 면역은 인체가 미생물이나 외래단백질과 같은 외부물질(비자기 성분)로부터 자기성분을 인식하여 저항하거나 제거하는 생리학적 기전이다". 면역은 인체가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생리적 조절과정으로, 세균, 바이러스, 유해한 화학물질이 인체로 들어오면 체내 방어기전인 면역계가 작용하여 인체를 보호한다. 만약 면역계가 작동하지 않으면 작은 감염도 견디지 못하고 죽게 되므로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기전이라 할 수 있다". 1.2. 면역의 종류 1.2.1. 비특이적 선천면역 비특이적 선천면역"은 인...2024.08.29
-
혈액형의 종류2024.08.281. 혈액형의 종류와 이해 1.1. A, B, O 혈액형 A, B, O 혈액형이란 ABO식 혈액형의 3가지 기본 혈액형이다.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A, B 항원에 따라 구분되며, A형, B형, AB형, O형의 4가지 혈액형으로 나뉜다. A형은 적혈구에 A 항원이 있고, 혈청에는 B 응집소가 존재한다. B형은 적혈구에 B 항원이 있고, 혈청에는 A 응집소가 존재한다. AB형은 적혈구에 A, B 항원이 모두 존재하고, 혈청에는 응집소가 없다. O형은 적혈구에 A, B 항원이 없고, 혈청에는 A, B 응집소가 모...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