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화학평형상수 계산 및 분석2024.09.241. 서론 1.1. 관련 이론 및 관련식 관련 이론 및 관련식은 다음과 같다. 가역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를 질량 작용 법칙(law of mass action)이라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n1A + n2B + ····· ⇌ n1'A' + n2'B' + ····· { { {C }`_{A' } ^{ {n }_{1 } } } · { {C }`_{B' } ^{ {n }_{2 } } }····· } / { { {C }`_{A } ^{ {n }_{1 } }...2024.09.24
-
일반화학실험 3판 르샤틀리에2024.09.221. 서론 1.1. 화학평형과 착이온의 중요성 화학평형과 착이온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화학평형은 가역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 더 이상의 변화가 없는 상태가 된다. 화학평형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연계의 많은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화학평형의 이해는 화학을 비롯한 자연과학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기초가 된다. 착이온은 중심금속 이온에 주변의 배위 리간드들이 결합한 화합물로, 전이금속 이온이 주로 착이온을 ...2024.09.22
-
분석화학실험 평형상수2024.09.251. 서론 1.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Scatchard 방정식을 이용하여 사이클로헥산 용매 내에서 요오드(I2)와 피리딘 사이의 착물 생성에 대한 평형상수를 구하는 것이다. 요오드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피리딘의 농도를 변화시킬 때 나타나는 스펙트럼의 변화를 분석하여, I2와 피리딘이 반응하여 I2-피리딘 착물을 형성하는 반응의 평형상수 K를 계산할 수 있다. Scatchard 플롯을 통해 평형상수 K와 몰흡광계수 Δε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용액 내에서 결합한 피리딘([PX])과 결합하지 않은...2024.09.25
-
화학평형 실험 결과2024.09.301. 화학평형 1.1. 화학 반응의 평형 많은 화학반응에서 반응물은 생성물로 완전히 변환되지 않고, 아무리 오랜 시간동안 반응을 진행시켜도 일부의 반응물은 생성물과 함께 남아 있다. 이때 우리는 반응물과 생성물이 평형(equilibrium)을 이루고 있다고 말한다. 화학반응 a A + b B⇌c C + d D에서, 반응의 초기에는 반응물 A와 B가 반응하여 C와 D를 생성하며, A와 B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정반응의 속도는 점차로 감소한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물 C와 D의 농도가 증가하고 C와 D로부터 A와 B가 생성되...2024.09.30
-
평형의이동2024.10.051. 평형상태 1.1. 평형 상태의 특성 평형 상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형 상태에서는 어떠한 거시적 변화도 없다. 계의 매크로적인 성질들, 예를 들면 농도, 압력, 온도 등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는 정반응의 속도와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져서 겉으로 보기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둘째, 평형 상태는 자발적인 과정을 거쳐 도달한다. 초기반응물과 생성물의 조건에 상관없이 일정한 온도와 압력 하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즉, 어느 방향으로든 반응이 진행되어 새로운 평형 상태...2024.10.05
-
화학 반응에서의 평행 상수의 결정2024.10.02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색을 비교하는 방법(비색법)을 이용해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반응의 평형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화학 평형반응에서는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져 겉보기에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가 된다. 이때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화학 평형상태의 특징은 시간에 따라 반응물질의 농도는 감소하고 생성물의 농도는 증가하다가 평형에 도달하면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이 공존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또한 외...2024.10.02
-
서울대 화학실험 A2024.10.011. 산화환원 반응 1.1. 산화환원반응의 정의 산화환원반응이란 두 화학물질 사이에 전자이동이 발생하는 반응 또는 원자들의 산화수에 변화가 있는 반응이다. 전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 물질은 전자를 잃어 산화되고, 다른 물질은 전자를 얻어 환원된다. 따라서 산화되는 물질은 환원제, 환원되는 물질은 산화제로 작용한다. 산화수의 증가는 산화, 감소는 환원을 의미하며, 이는 화학결합에서 전기음성도의 차이로 인해 전하가 양 끝으로 쏠리는 현상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산화환원반응은 다양한 분석방법에 활용되는데, 산화환원 적정이 대표적인 예...2024.10.01
-
평형상수와 용해도곱2024.11.011. 평형상수와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비색법과 흡광도를 이용하여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 반응의 평형상수를 결정하고, 공통이온 효과를 이용해 포화 용액의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평형상수는 화학 평형을 특징짓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반응물과 생성물의 몰농도 비율을 나타낸다. 평형상수의 값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일정 온도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주어진 온도 조건에서 평형상수의 값을 실험적으로 결정하고자 한다. 또한 용해도곱 상수는 고체 염의...2024.11.01
-
평형상수 결정 결과2024.10.20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Fe3+와 SCN-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FeSCN2+ 착이온의 평형상태에서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평형상수와 자유에너지 변화량을 계산하여 화학반응의 자발성 및 온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농도비를 가진 용액들을 제조하고, 비색법과 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용액의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온도에 따른 평형상수와 자유에너지 변화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화학평형의 온도 의존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1.2. 실험 원리 실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반응식...2024.10.20
-
산해리 평형2024.10.271. 산 해리 평형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시료 A와 시료 B에서 각각 일정 농도에서의 pH를 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서 산의 이온화상수를 구하며, 그 값이 일정 온도에서 일정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이온화상수를 이용해서 시료 A와 시료 B 중 무엇이 인산이고 아세트산인지 구별하는 것이다."" 1.2. 이론 1.2.1. 산 해리 평형 계산 약산 HA가 수용액 중에서 해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A H+ + A- 이때 산 해리 평형 상수 K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Ka = [H+][A-]...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