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Jones oxidation2024.11.101. 알코올의 산화 1.1. 알코올의 산화 이론 1.1.1. 알코올의 정의 및 분류 알코올(alcohol)이란 하이드록시기(-OH)가 탄소 원자에 결합된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일반적인 형태는 C_{n} H_{2n+1} OH 꼴이다.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하이드록시기(-OH)의 숫자에 따라 1가 알코올, 2가 알코올, 3가 알코올 등으로 분류된다. 대표적인 1가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이 있다. 2가 알코올은 글라이콜이라는 총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알코올은 하이드록시기와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알킬기(...2024.11.10
-
산화환원반응2024.12.031. 산화 환원 반응 1.1. 크롬산 및 크롬을 이용한 산화반응 크롬산 및 크롬을 이용한 산화반응은 전이금속 산화제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크롬(VI)은 수용액 상태에서 농도와 pH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무수크롬산(CrO3)을 물에 녹이면 물과 반응하여 크롬산이 형성된다. 크롬산염은 산화력이 강해 알코올과 알데히드를 산화시켜 카르복실산으로 전환할 수 있다. 1차 알코올은 알데히드 수화물을 거쳐 카르복실산으로, 2차 알코올은 직접 케톤으로 산화된다. 이 과정에서 크롬(VI)이 크롬(IV)으로 환원되며...2024.12.03
-
haloform reaction2024.11.291. 실험 목적 1.1. 케톤의 α-프로톤이 산성하여 쉽게 떨어짐 케톤의 α-프로톤이 산성하여 쉽게 떨어짐이다. 케톤 분자의 α-탄소는 카르보닐기(C=O)와 인접해 있어 전기음성도가 커진다. 이에 따라 α-탄소의 결합하고 있는 수소 원자가 산성해지게 된다. 즉, α-탄소의 수소는 쉽게 떨어져나갈 수 있는 특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α-프로톤의 산성도 증가는 α-탄소가 전하를 안정화할 수 있는 공명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케톤의 카르보닐기에서 발생한 부분 양전하를 α-탄소가 공명을 통해 안정화시킬 수 있게 ...202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