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비교 연구2024.09.23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이란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혈액투석 시에는 인공 콩팥기에 있는 투석막을, 복막투석 시에는 배안을 둘러싼 복막을 반투막으로 이용한다. 이를 통해 혈액 내의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여 요독증상을 완화시키고 고혈압 및 빈혈 상태를 개선하여 사회적 재활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2. 투석의 목적 투석의 목적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2024.09.23
-
KCTA - 정리본1, KCTA - 정리본22024.10.181. Coronary Intervention 1.1. History of coronary intervention 관상동맥중재술의 역사는 1977년 뮌헨 의대교수인 안드레아스 그륀치히(Andreas Gruentzig)가 최초로 시행한 풍선확장술(balloon angioplasty)로부터 시작된다. 그륀치히는 관상동맥 협착을 풍선을 이용하여 확장시키는 시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상동맥 질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 이전에는 관상동맥 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이 관상동맥...2024.10.18
-
장기간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요정체2024.11.121.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1.1. 유치도뇨관 감염 위험성 개요 유치도뇨관 삽입은 입원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배뇨 관리 방법이지만, 이로 인해 요로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유치도뇨관 삽입은 요도를 통해 방광 내로 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도뇨관은 요도를 통해 외부 세균이 침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유치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요로감염은 병원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로, 전체 병원감염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2024.11.12
-
카테터 종류2024.12.191. 혈관 카테터 종류 1.1. 말초정맥 카테터 (Intravenous catheter) 말초정맥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손, 상박 등에 삽입하며 최대 4일까지 유지가능하다. 정맥주사에 흔히 사용되며, 수혈, 수액/약물 주입, 조영제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혈류감염을 잘 일으키지는 않으나 장기간 사용 시 정맥염이 나타날 수 있다. 카테터의 gage 숫자가 작을수록 바늘크기가 굵고 길어진다. 18G 카테터는 수술전 환자, 수혈 환자, CT, MRI 환자에게 적용되며 응급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24G 카테터는 가장 얇고 짧아서 단순 약물...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