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간담췌2024.11.061. 간,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1.1. 간의 구조 간은 우리 인체의 여러 장기 중에서 단일 장기로서는 가장 큰 장기로, 우상복부에 위치하며 피라미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 늑골에 의해서 보호된다. 간의 무게는 성인의 경우에 체중의 약 1/40 즉 2.5 % 정도를 자치하여 체중 60kg의 성인인 경우에 약 1.2kg 내지 1.5kg정도 된다. 쓸개(담낭)는 간의 바로 아래에 붙어 있고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액은 담도를 따라 내려와 담낭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람이 지방질을 흡수하면 호르몬의 분비에 의해서 담낭이 수축되...2024.11.06
-
설사와 관련된 피부2024.12.021. 당뇨병 환자의 간호과정 1.1. 영양부족 잦은 설사로 인한 식이 섭취 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이 대상자의 간호진단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설사 증상으로 인해 식이 섭취가 원활하지 않아 영양 상태가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에 따르면 "이제 죽 먹기 싫어요", "먹으면 또 설사하는데 차라리 안 먹을래요", "아까도 죽 먹고 나서 바로 화장실가서 짜증나요. 그냥 이온음료만 먹을래요" 등의 진술을 토대로 식이 섭취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객관적 자료에서는 식이(죽)을 다 먹지 못하고 남기고,...2024.12.02
-
ERCP 시술 방법 및 절차 분석2024.11.251.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 1.1. ERCP란?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란 내시경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으로 연결된 유두부를 통해 담관과 췌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이다. 간과 췌장에서 만들어진 담즙과 췌장액은 각각 담관과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며 십이지장의 유두 개구부에서 분비되어 음식물을 소화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담관과 췌관에 결석 또는 양성 혹은 악성 종양 및 염증으로 인한 협착이 있을 시 담관과 췌관이 막혀 소화액들이 분비되지...2024.11.25
-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22, 8판 요약본>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 동반 질환 위험도’를 설명2024.10.131.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측정 및 비만 여부 판정 1.1. 체질량지수 계산 및 수치 제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개인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비만 지표이다. 체질량지수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즉, BMI = 체중(kg) / (키(m) × 키(m))이다. 이러한 체질량지수 계산식을 활용하여 평가대상 여성의 체질량지수를 산출해보면 다음과 같다. 평가대상 여성의 키는 1.53m이고 체중은 48kg이므로, BMI = 48 / (1.53 × 1.53) = 2...2024.10.13
-
총담관폐쇄 케이스2024.11.211. 총담관 결석 1.1. 개요 1.1.1. 정의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내 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으로 십이지장까지 연결된다. 총담관 결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즉, 총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담낭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통로로, 이 통로에 담석이 생기는 질환을 총담관 결석증이라고 한다. 1.1.2. 원인 총담관 결석의 원인은 크게 일차성 담관 결석과 이차성 담관 결석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성 담관 결석은 담낭의 담석...2024.11.21
-
소화기계질환2025.02.261. 소화기계 질환 개요 1.1. Gastritis, Ulcer, Stomach cancer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으로 발생하며, 급성 위염과 만성 위염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위염의 주요 원인은 위점막의 방어기전 손상이며, 이로 인해 위산과 펩신이 위점막과 접촉하여 염증과 출혈이 발생한다. 이 경우 식욕부진, 경미한 상복부 불편감을 호소하게 된다. 만성 위염은 H. pylori 감염이 주요 원인이며, 점차 위축으로 진행되어 위암 발생의 위험요인이 된다. 만성 위염 환자는 모호한 위 불편감, 식후 상복부 불편감 등을 호소한다. ...2025.02.26
-
성인간호학 췌장낭성종양2025.02.081. 서론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췌장 질환에 걸리는 사람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췌장 가성낭종은 췌장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낭성 질환 중 하나이다. 이 질환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시작되지만 크기가 증가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췌장 가성낭종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췌장 가성낭종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경과 및 합병증, 예방 방법과 더불어 수술 후 간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 입장에서의 사정과 간호과정도...2025.02.08
-
췌장염을동반한 담관염2024.08.291. 담관염 1.1. 정의 담관염은 담관 계통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말하는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을 의미하며 심한 경우에는 혈압 저하, 의식 저하를 동반한 패혈증과 같은 전신의 염증으로 빠르게 진행되어 사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1.2. 원인 담관염의 원인은 담즙에 세균이 감염되어 매우 빠르게 번식하게 되는 데에 있다.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긴 경우 하부 담도에 폐쇄가 동반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 경우 담즙은 배출되지 못하고 담관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2024.08.29
-
Calculus of bile duct with obstruction2025.02.091. 서론 1.1. 사례의 배경 62세 남성으로 내원하기 2일 전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느낌의 cpigastric pain(상복부 통증)으로 응급실을 통해 내원했다.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Calculus of bile duct with cholangitis, without mention of obstruction을 진단받았다. 현재 PTGBD로 처치 중이며 추후 3~6개월 간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1.2. 질병의 정의와 특징 담도계(biliary system)는 담낭(gallbladder), 담관(bile duct) 및 담낭관(...2025.02.09
-
소화기계 병태생리2025.03.09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소화기계의 구성 소화기계는 위장관계와 부속기관으로 구성된다. 위장관계에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항문이 포함되며, 부속기관에는 침샘, 간, 담낭, 췌장이 속한다. 이들 기관은 음식물의 섭취, 소화, 흡수, 대사 및 노폐물 배설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 섭취의 통로이며, 치아를 통한 저작운동과 타액 분비로 소화를 시작한다. 식도는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며, 위는 소화액 분비, 음식물 저장, 혼합 등의 기능을 한다. 소장에서는 영양분의 대부분...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