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모스볼2024.09.181. 모스펫 벅 초퍼와 부스트 초퍼 1.1. 실험 목적 모스펫 벅 초퍼와 부스트 초퍼의 실험 목적은 모스펫 벅 초퍼의 동작을 이해하고 시동시켜보며, 모스펫 부스터 초퍼의 동작을 이해하고 시동시켜보는 것이다. 모스펫 벅 초퍼는 입력전압을 강압하여 원하는 낮은 출력전압을 얻는 회로로,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실제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모스펫 부스트 초퍼는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원하는 높은 출력전압을 얻는 회로로,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실제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1.2. ...2024.09.18
-
인천대 축전기2024.10.241. 개요 1.1. 실험 목적 축전기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그 충전량이 변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고 축전기의 용량 시상수(Capacitive time constant)가 어떠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개요 축전기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그 충전량이 변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고, 축전기의 용량 시상수(Capacitive time constant)가 어떠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실험의 개요이다. 구체적으로는 축전기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충전량의...2024.10.24
-
반파 및 전파 정류2024.10.061. 반파 및 전파 정류 1.1. 반파 정류회로 1.1.1. 반파 정류 동작 원리 반파 정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반파 정류회로는 교류 입력 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회로이다. 이를 위해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시 낮은 전압강하로 전류가 흐르지만, 역방향 바이어스 시 높은 저항값으로 인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반파 정류회로에서 교류 입력 전압이 양의 값일 때,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전류가 부하 저항을 통해 흐른다. 이때 출력전압은 입력 전압과 같은 극성을 가...2024.10.06
-
PP^T2024.11.061.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1.1. 실험목적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실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미적분기의 동작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산증폭기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출력전압으로 나타내는 회로로, 이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의 동작을 파악하고자 한다. 미분기는 입력전압을 미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고, 적분기는 입력전압을 적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산증폭기 기반의 미분기와 적분기 회로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첫 번째 목적이다. 둘...2024.11.06
-
트랜지스터 특성2024.11.061. 클램퍼 회로 1.1. 실험 목적 클램퍼 회로의 실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램퍼의 출력 전압을 계산하고 측정하는 것이다. 클램퍼 회로는 입력 파형의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로로, 출력 전압을 계산하고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PSpice를 이용하여 클램퍼 회로의 시간 영역(과도)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클램퍼 회로의 동작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다. 1.2. 관련 이론 이전의 클리퍼 회로가 입력에 대해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내어 출력 전...2024.11.06
-
직류 공급전압 400V 부하저항 40 시뮬레이션 파형 확인2024.11.011. 강압형 컨버터 설계 및 PSIM 시뮬레이션 1.1. 강압형 컨버터 설계 1.1.1. 스위칭 주파수 및 맥동 전압 계산 직류 공급전압 Vs = 400 [V], 부하저항 R = 40 [옴], 듀티비 D = 0.4, 인덕터 L = 0.5 [mH], 커패시터 C = 1 [uF]인 강압형 컨버터가 정상상태에서 인덕터가 연 속동작 전류모드(CCM)가 되기 위해서는 스위칭 주파수가 40 kHz가 되어야 한다.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전압 Vo는 Vo = D × Vs = 0.4 × 400 V = 160 V이다. 이때 부하전류 I0는 I...2024.11.01